증권업계 “현실화된 0%대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 있어”

증권 입력 2020-03-17 08:51:30 이소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이소연기자] 국내 기준금리가 사상 처음으로 0%대 영역에 들어갔다. 전날인 지난 16일 임시 금융통화위원회를 개최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연 1.25%에서 0.75%로 0.50%포인트 전격 인하했기 때문이다. 증권업계에서는 추가적인 기준 금리 인하 가능성도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한은이 임시 금통위를 열고 금리를 내린 것은 이번을 포함해 세 차례에 불과하다. 앞선 두 차례는 미국 9·11 테러 직후인 지난 2001년 9월과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8년 10월 두 차례였다. 당시 한국은행은 각각 0.50%포인트, 0.75%포인트 기준금리를 인하한 바 있다. 즉, 이번 임시 금통위 개최와 기준금리 인하 결정은 금통위가 코로나19 사태를 얼마나 심각하게 보고 있는지를 가늠할 수 있는 잣대인 셈이다.  


금통위는 기준금리 인하를 전격 결정한 이날 의결문을 통해 “지난 2월 27일 통화정책방향 결정 이후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하면서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심화됐다”며 “이에 따라 금통위는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확대해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하고 성장과 물가에 대한 파급영향을 줄여나갈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인하 결정 배경을 설명했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발 빠른 금리 인하 행보가 한은의 적극적인 대응에 여지를 줬다는 부연 설명도 더해졌다. 또한 금통위는 “국내외 금융·경제 여건의 불확실성이 매우 높은 만큼 앞으로도 통화정책을 완화적으로 운영해 거시경제의 하방리스크와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완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증권업계는 이번 금통위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한은의 방향성에 대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여전하다고 전망했다. 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현 0.75%의 기준금리 상황에서 추가 기준금리 인하 여력은 제한적”이라면서도 “지난 2008년 금융위기에 대응해서도 금리인하 조치가 연속적으로 이어졌음을 고려할 때 실물경기 여파에 따라 추가 금리인하 가능성을 열어 둬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실제로 지난 2008년 금융위기 당시 10월 9일 첫 번째 인하를 시작으로 2009년 2월 12일까지 총 6차례 기준금리가 인하되며 당시 5.25%이던 금리가 2%대로 낮아진 바 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이 코로나19발 경기침체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그동안의 소극적 통화정책 운용에서 탈피해 정부와의 적극적인 대응을 시사했다”며 “3월 임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50bp 인하했음에도 불구하고 추가적인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다고 생각한다”고 의견을 전했다. 특히 백 연구원은 “최근 국내 통화정책 불확실성과 수급 이슈 등으로 시장금리 변동성이 크게 확대되는 모습을 보였다”며 “추경 등으로 인해 수급에 대한 우려가 재차 높아질 수 있겠지만, 현 상황에서 금리하락 추세를 전환시킬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전망했다. 


우혜영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 역시 “기축 통화국의 기준금리 레벨이 0%대로 낮아지면서 비(非)기축 통화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실효하한 역시 어느 정도 하향 조정돼 실질적으로 기준금리 인하 등 통화정책 여력이 확보됐다”며 “향후 글로벌 국가들의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은 매우 높으며, 한국은행 역시 연내 추가 인하가 단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도 “미국 연준의 추가 대응 카드가 상당히 줄어든 상황에서 미 연준의 회사채 매입이나 CP 매입 등이 추가적으로 기대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금융시장이 안정되려면 기대되는 정책이 실제로 시행되거나 코로나19 확산이 예상보다 더 빠르게 진정되는 조건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안 연구원은 이어 “금융시장이 미 연준의 150bp 인하와 한국은행의 50bp 인하로 안정되지 못한다면, 결국 한국을 포함해 주요국 통화정책의 추가 완화 가능성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전망했다. 


김명실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다만 4월 연속 인하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전망을 내놨다. 김 연구원은 “추후 한은의 기준금리가 실효금리 하향조정에 따라 내려갈지 또는 금리정책 이외 비전통적 통화정책 도입이 가능할지 여부가 관건”이라며 “가변적 실효하한 금리에 근거하면 추가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유지되겠지만, 4월 연속적 인하보다는 금리정책 이외 다른 유동성 공급 조치들이 나올 가능성에 무게를 둔다”고 언급했다. /wown9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