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7년 주택 과잉공급…연말 수도권 역전세난”

2015년~17년 급증한 주택공급(주택 인·허가 물량)으로 올 연말부터 집을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후 미분양’이 3만가구에 달할 것이란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략연구부장은 26일 KDI 정책포럼 '우리나라 주택공급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보고서에서 2019년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최대 2만5,561가구, 2020년이면 3만51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19∼2020년 분양 물량이 29만7,000가구인 상황에서 사용자비용(차입금리-주택가격상승률)이 1.0%, 2019년과 2020년 실질 경제성장률이 각각 2.4%, 2.5%인 것을 가정한 결과다. 올해 5월 기준 미분양 물량이 1만8,558가구인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 미분양 급증세는 2015년 집중됐던 주택공급 급증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KDI가 아파트 분양물량과 미분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양 물량이 10% 증가하면 3년 뒤에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3.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물량 증가는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장기평균 대비 10% 증가할 경우 전셋값은 0.6∼1.121%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 지역에서 전셋값이 가장 높았던 시점이 2017년 12월과 2018년 2월임을 고려하면 2년 만기가 도래하는 2019년 12월부터 수도권에서 역전세 현상이 표면화될 것이라고 송 부장은 지적했다.
2018년 기준으로 가구 수 증가와 주택멸실 수를 더한 '기초주택수요'는 34만8,220가구지만, 실제 주택 인허가 물량은 55만4,136가구에 달한다. 20만가구가 넘는 공급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부, 강릉 가뭄 피해 소상공인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 아모레퍼시픽 마몽드, 유럽 시장 공식 진출…8개국 출시
- 배민B마트, 업계 최초 쓰레기 '종량제 봉투 배달' 개시
- 쿠팡·쿠팡이츠서비스, 전통시장 디지털 전환 상생 협약
- 신세계푸드, '화장품 ODM' 씨앤씨인터내셔널에 500억 투자
- 교보생명 평생안심신탁, 고령층에 호응…'치매머니' 해결책 부상
- CGV, ‘아바타: 물의 길’ SCREENX 3D 버전으로 첫 선봬
- GC녹십자, 창립 58주년 기념식 개최
- 마사회, '은퇴경주마 품평회·승마대회 결승전' 성료
- 질풍가도 달리는 연승마... 올해의 연승왕은 누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용익 부천시장, 부천시민의 날로 시민과 소통하다
- 2인천시의회, 의료계와 머리 맞대고 ‘통합돌봄’ 실현 모색
- 3인천시, ‘아이플러스 집 드림’으로 신혼 주거 안정 나선다
- 4수원특례시,㈜보령과 민선 8기 22호 투자협약 체결
- 5연천군, 수소열차 실증노선 확정…2027년 시험 운행
- 6구리시, 지역경제 활성화 852억 투입…6대 분야 지원 본격화
- 7공영민 고흥군수 "청렴, 공직자가 지켜야 할 기본 원칙"
- 8해운대구, '전국지자체 일자리 대상' 시상식서 특별상 수상
- 9중기부, 강릉 가뭄 피해 소상공인에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 10김희수 진도군수, 추석 앞두고 지역 사회복지시설 위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