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17년 주택 과잉공급…연말 수도권 역전세난”

2015년~17년 급증한 주택공급(주택 인·허가 물량)으로 올 연말부터 집을 다 짓고도 주인을 찾지 못하는 ‘준공후 미분양’이 3만가구에 달할 것이란 국책연구기관의 전망이 나왔다.
송인호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략연구부장은 26일 KDI 정책포럼 '우리나라 주택공급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보고서에서 2019년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최대 2만5,561가구, 2020년이면 3만51가구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이는 2019∼2020년 분양 물량이 29만7,000가구인 상황에서 사용자비용(차입금리-주택가격상승률)이 1.0%, 2019년과 2020년 실질 경제성장률이 각각 2.4%, 2.5%인 것을 가정한 결과다. 올해 5월 기준 미분양 물량이 1만8,558가구인 것과 비교하면 급격한 증가가 예상된다. 미분양 급증세는 2015년 집중됐던 주택공급 급증에 따른 것이란 분석이다.
KDI가 아파트 분양물량과 미분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분양 물량이 10% 증가하면 3년 뒤에는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3.8%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주 물량 증가는 전세 시장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아파트 입주 물량이 장기평균 대비 10% 증가할 경우 전셋값은 0.6∼1.121%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 지역에서 전셋값이 가장 높았던 시점이 2017년 12월과 2018년 2월임을 고려하면 2년 만기가 도래하는 2019년 12월부터 수도권에서 역전세 현상이 표면화될 것이라고 송 부장은 지적했다.
2018년 기준으로 가구 수 증가와 주택멸실 수를 더한 '기초주택수요'는 34만8,220가구지만, 실제 주택 인허가 물량은 55만4,136가구에 달한다. 20만가구가 넘는 공급초과가 발생하고 있는 셈이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 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 ‘취임 1년’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수익구조 과제”
- LG엔솔, 우주용 배터리 개발 참여…“사업 다각화”
- 넥슨, 3분기 실적 역성장…4분기 반등 시험대
- 크래프톤, ‘자발적 퇴사선택 프로그램’ 공지
- 셀트리온 소액주주 집단행동…“주가 횡보 책임져라”
- 뷰노, 3분기 흑자 전환 달성…“심정지 예측 AI '딥카스' 매출 성장”
- 고려아연, 한파 취약계층에 김장김치·방한용품 나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돌연사 키우는 조용한 병…'비후성 심근병증' 아세요?
- 2김한종 장성군수 "정부 예산 확보에 사활"
- 3마곡 차병원 난임센터 오픈…아시아 최대 규모 AI 특화센터
- 4정용진, G마켓 살릴까…신세계·알리바바 JV 의장 선임
- 5슬림폰 전쟁 ‘옛말’…삼성·애플, 소비자 외면에 ‘전략 변경’
- 6자동차업계 ‘시름’…관세·中경쟁·탄소감축 ‘삼중고’
- 7‘취임 1년’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수익구조 과제”
- 8역대급 불장에 …兆단위 대어 잇단 IPO 노크
- 9LG엔솔, 우주용 배터리 개발 참여…“사업 다각화”
- 10"성장 돌파구 찾자"…자산운용사 탐내는 보험사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