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고령화가 23년간 실질금리 3%P 떨어뜨려”

[서울경제TV=유민호기자]
[앵커]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빠른 인구 고령화가 실질금리 하락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길어질수록 저축은 늘고, 소비는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유민호기자입니다.
[기자]
인구 고령화가 지난 20여년 간 실질금리를 3%포인트 떨어뜨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고령화가 실질금리를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뜨렸다고 분석했습니다.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올랐습니다.
실질금리란 통화안정증권 1년물 금리에서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뺀 값으로, 경제 주체들이 체감하는 금리 수준을 말합니다.
연구원은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습니다.
실질금리 하락 폭의 3분의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입니다.
연구원은 “기대수명 증가가 실질금리 하락에 미친 영향이 인구 증가율 감소로 인한 영향의 두 배”라고 설명했습니다.
아울러 “향후 인구 고령화가 지속하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서울경제TV 유민호입니다. /you@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라이나생명, '(무)새로담는건강보험플러스' 출시
- 2캠코·예보, 몽골 금융안정성 강화 공동 초청연수 진행
- 3새마을금고, 전국 파크골프 어울림한마당 개최
- 4한화생명금융서비스, '2025 트루컴퍼니' 선정…장애인 고용 확대 공로
- 5BC카드, 파리나무십자가 합창단 공연 최대 15% 할인
- 6신한카드, 소비자보호 통합관리시스템 '소보로 2.0' 개편
- 7OK저축은행, 단기 적금 'OK예뻐지는적금' 출시
- 8KB손보, 'KB 골든라이프케어 간병보험' 출시
- 9인천 미추홀구, 주민 체감형 교통안전 환경 조성
- 10유정복 인천시장, 핵심사업 국비 확보 ‘직접 나섰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