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규 HDC회장 "화정 아이파크 사고 관련 회장직 사퇴"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정몽규 HDC그룹 회장은 광주 건설현장에서의 잇따른 대형사고에 책임을 지고 회장직을 사퇴한다고 17일 밝혔다.
정몽규 회장은 이날 오전 서울 용산 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광주사고 피해자와 가족, 그리고 국민 여러분께 머리 숙여 깊이 사죄 드린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정 회장은 "가장 중요한 것은 실종자 수색과 사고 원인 규명이다"라며, "안전점검에 문제가 있다면 수분양자 계약해지는 물론 철거와 재시공도 고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어 "철거 후 재시공을 광주에서 랜드마크가 될 수 있는 아파트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대산업개발은 1976년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개발로 시작하여 아이파크 브랜드로 국민의 신뢰와 사랑을 받으며 성장해왔지만, 최근 광주에서 두 건의 사고로 인해 광주 시민과 국민 여러분들께 너무나 큰 실망을 끼쳤습니다"라고 "아파트의 안전은 물론 회사의 신뢰가 땅에 떨어져 참담한 말을 금할 길 없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현대산업개발은 광주시를 비롯한 관련 정부기관들과 힘을 합쳐 사고현장을 안전하게 관리하면서 구조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신속하게 실종된 분들을 구조하는데 더욱 총력을 기울이겠다"며, "또한 이번 사고로 인한 피해자 가족분들께 피해를 보상함은 물론, 입주 예정자분들과 이해관계자분들께도 피해가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회장은 "두 사건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며, 현대산업개발 회장직에서 물러나겠다"며, "사고를 수습하고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할수 있도록 그룹차원에서의 모든 노력과 지원을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다만 그는 "대주주의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해 지주사인 HDC 대표이사 회장직은 유지할 뜻을 내비쳤다. 경영에서 완전히 손을 떼는 것이 아니라 2선 후퇴해 사고 수습을 책임을 다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정몽규 회장이 현대산업개발 회장에서 물러나기로 한 것은 지난해 6월 학동 재개발 구역 참사에 이어 7개월 만인 11일 신축 중이던 화정아이파크의 외벽이 무너지는 잇단 대형 사고로 현대산업개발에 대한 여론이 악화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이 사고로 현대산업개발의 광주 수주 사업 현장 등에서는 계약 해지 통보가 이어지고 있고, 아이파크 브랜드 퇴출 움직임까지 보이는 등 창사 이래 최대 위기를 맞으면서 총수의 결단 없이는 사태 진화가 쉽지 않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정 회장은 지난해 6월 학동 재개발 철거 현장 사고 당시에는 빠르게 사고 현장을 찾아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던 것과 달리 화정아이파크 사고 이후에는 현장에서 사고 수습을 지휘하면서도 공개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고 침묵해 왔다./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현대모비스, 우수 협력사에 수박 1만통 선물
- HD현대, 안두릴과 협력…美 함정 시장 진출 속도
- 티웨이항공, 유럽 장거리 노선 ‘인천-로마’ 취항 1주년
- 현대차, 2026 싼타페·2026 투싼·코나 블랙 익스테리어 출시
- 임팩티브AI, 독일 라운호퍼와 제조 예측기술 공동 개발
- ‘개봉 루브루’ 분양가 눈길…청약홈 임의공급 잔여세대 분양
- 넷마블, 日서 ‘일곱 개의 대죄: Origin’ 옥외광고 전개
- U+tv, 고객 경험 혁신 위해 실시간 채널 UI/UX 개편
- KT, KT플라자에서 AI 청력검사 키오스크 시범 운영
- BGF리테일, 투아트와 시각장애인 쇼핑 편의 돕는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도시공사, 직장어린이집 짓는다…내년 착공
- 2현대모비스, 우수 협력사에 수박 1만통 선물
- 3HD현대, 안두릴과 협력…美 함정 시장 진출 속도
- 4경북도, 버들치 52만 마리 분양…내수면 양식산업 활성화 기대
- 5한국원자력환경공단-방폐물 학술단체 협의회, 워크숍 개최
- 6한국수력원자력, 2025년 협력사 ESG 지원사업 추진 업무협약 체결
- 7영진전문대, 한일 초중학생 대구경북영어마을서 영어 배우며 우의 다져
- 8포항시, 대미수출 철강기업 긴급 간담회 개최
- 9김천시, 2년 연속 ‘노인일자리 사업’ 최우수 지자체 선정
- 10영천교육지원청, 2025 특수교육지원인력 역량강화 연수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