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AI로 대형참사 등 인명사고 악플 탐지·대응 강화"
경제·산업
입력 2025-01-24 10:12:38
수정 2025-01-24 10:12:38
이수빈 기자
0개
'클린봇 옵저버' 고도화…기사 악플 탐지
클린봇 옵저버는 2023년 7월 베타 버전으로 시작한 서비스다. 인공지능(AI) 기반 악플 탐지 기술 '클린봇'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비스로 악플 작성 시도 비율을 계산해 감지 대상 기사를 자동으로 선별하고 해당 기사를 언론사에 알려준다. 언론사들은 이전보다 빠르게 댓글 제공 중단 필요성을 확인하고 즉각 중단을 결정할 수 있다.
네이버는 "최근 여객기 참사 보도 관련해 약 30개의 언론사가 댓글 제공 중단 기능을 이용했다"면서도 "추가적인 대응 필요성에 따라 인명사고 탐지 AI 기술을 클린봇 옵저버에 적용해 1분기 중으로 고도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네이버는 언론 유관 협회·단체와 논의해 상반기 중으로 '자살 예방 보도 준칙'과 같은 참사 보도 권고 기준과 악플 예방 문구를 마련할 계획이다. 해당 보도 시 문구를 삽입하도록 협의할 예정이다.
관련 문구가 포함된 기사의 경우 자살 보도와 마찬가지로 언론사에 댓글 자동 중단 여부를 설정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전망이다. 예를 들어 언론사에서 자살 예방 문구처럼 특정 악플 예방 문구를 기사에 삽입하면 대형 참사, 인명사고 기사로 탐지해 해당 기사 댓글이 자동으로 닫히는 방식이다.
네이버는 "자살 예방 캠페인에 적극 동참했던 것처럼 대형 참사를 포함한 인명사고 기사에서도 악플 근절을 위해 기술적,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정부, 베네수엘라 일부지역 '여행금지' 발령…"안전 우려"
- 브뤼셀서 EU 인태 장관급 포럼…정의혜 외교부 차관보 참석
- 뉴욕증시 3대 지수 상승…연준 인하 기대가 동력
- 구글 “AI 수요 따라 컴퓨팅 6개월마다 용량 두 배”
- 이재명 대통령, G20·믹타·양자회담까지 다층 외교 시동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청정 갯벌의 선물'…보성군, 제21회 벌교꼬막축제 개막
- 2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3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4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5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6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7HD현대건설기계, 영천시에서 제17호 국가유공자 하우스 리모델링 준공식 개최
- 8신성일기념관 개관식 개최...영천에 새로운 문화 랜드마크 탄생
- 9김천교육지원청, Wee센터 돋움·디딤 프로그램 활동 평가 및 간담회 운영
- 10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빛과 쇠’의 울림…7만 5천여 명 다녀가며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