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종목만 왜 이래?”…상승장 속 커지는 소외감
금융·증권
입력 2025-09-26 17:15:27
수정 2025-09-26 19:20:01
김효진 기자
0개
코스피가 9월 들어 상승 랠리를 재가동했지만 소수의 대형 반도체주들이 전체 지수를 견인하면서 보유 종목이 오르지 않았다는 투자자들이 많은데요. 지수만 보고 투자하기 보단 기업별 밸류에이션을 판단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코스피가 이달 들어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했지만 일부 주도주를 제외하면 상당수 종목들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은 좋은데 내 종목은 오르지 않는다”며 소외감을 토로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이윱니다.
실제로 이번 달 ADR이 100을 넘긴 날은 9월 12일부터 19일로 단 6일에 불과합니다. 상승 종목 수보다 하락 종목 수가 많은 날이 9월 거래일의 60%에 달합니다.
ADR은 상승 종목 수 대비 하락 종목 수의 비율로, ADR이 100을 넘으면 상승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보다 많은 겁니다. 즉 지수는 오르지만 체감상 하락장인 날이 더 많았다는 뜻입니다.
최근 코스피 지수 상승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형주가 이끌어 왔습니다.
9월 들어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 증가분의 60%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총 증가분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9월 코스피 시가총액은 약 2583조원에서 2857조원으로 증가했고,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400조원에서 509조원으로, SK하이닉스 시가총액은 186조원에서 259조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코스피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도 이같은 착시의 한 원인이 됩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더하는 방식, 즉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덩치가 큰 종목의 움직임이 많이 반영됩니다.
25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총 2857조원 중 삼성전자 비중은 17%, SK하이닉스 비중은 9%에 달합니다. 코스피 시총의 4분의 1 이상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으로 구성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반도체 등 소수의 섹터로 수급이 쏠린 상황이라며 지수만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산업 사이클이나 종목별 밸류에이션을 확인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FIU, 두나무에 최대 과태료…봐주기 논란도
- 금융권, 수백조 투입해 '생산적 금융'…리스크 관리는?
- 케이뱅크, 시스템 업데이트로 9일 새벽 서비스 일시 중단
- 엑시온그룹, 3분기 영업익 흑자전환
- IBK기업은행, '2025 서울시 일자리 박람회' 성료
- 흥국에프엔비, 3분기 영업익 27.6% 증가…채널 다변화 본격화
- 코스피, 3%대 급락하며 3900선 붕괴…외인·기관 '팔자'
- 수출입銀, “4분기 수출 전년 동기 수준 1750억 달러”전망
- 퀸잇, '2025 럭퀸세일' 론칭…블랙프라이데이 대전 시작
- 토스뱅크, 고령층 대상 '금융사기 예방 교육' 실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임실군, '2026년 귀농·귀촌 정착 지원사업' 신청 접수
- 2장수군, 청년농업인에게 매달 최대 110만 원 지원
- 3최영일 순창군수, 국회서 '농어촌기본소득 국비 80% 상향' 건의
- 4김치 맛도, 참여 열기도 '아삭'…임실 김장페스티벌 흥행 예고
- 5국립강원전문과학관, 전국 최초 의료·생명 특화 원주 개관
- 6'문화가 답이다' 전해갑 건축가, 국립민속국악원 다담 무대 오른다
- 7고창군 귀농귀촌 홍보대사, 가수 정삼·이청아씨 '위촉'
- 8심덕섭 군수, 김병기 원내대표 만나 서해안철도 국가계획 반영 촉구
- 9고창군 여성단체협의회, 사랑나눔 밑반찬 지원 행사 개최
- 10동두천 ‘육지 속 섬’ 걸산동…미군 패스 중단 생활길 막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