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종목만 왜 이래?”…상승장 속 커지는 소외감
금융·증권
입력 2025-09-26 17:15:27
수정 2025-09-26 19:20:01
김효진 기자
0개

코스피가 9월 들어 상승 랠리를 재가동했지만 소수의 대형 반도체주들이 전체 지수를 견인하면서 보유 종목이 오르지 않았다는 투자자들이 많은데요. 지수만 보고 투자하기 보단 기업별 밸류에이션을 판단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옵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코스피가 이달 들어 사상 최고치를 연일 경신했지만 일부 주도주를 제외하면 상당수 종목들이 부진한 흐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장은 좋은데 내 종목은 오르지 않는다”며 소외감을 토로하는 투자자들이 많은 이윱니다.
실제로 이번 달 ADR이 100을 넘긴 날은 9월 12일부터 19일로 단 6일에 불과합니다. 상승 종목 수보다 하락 종목 수가 많은 날이 9월 거래일의 60%에 달합니다.
ADR은 상승 종목 수 대비 하락 종목 수의 비율로, ADR이 100을 넘으면 상승 종목 수가 하락 종목 수보다 많은 겁니다. 즉 지수는 오르지만 체감상 하락장인 날이 더 많았다는 뜻입니다.
최근 코스피 지수 상승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반도체 대형주가 이끌어 왔습니다.
9월 들어 코스피 전체 시가총액 증가분의 60%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시총 증가분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9월 코스피 시가총액은 약 2583조원에서 2857조원으로 증가했고, 삼성전자 시가총액은 400조원에서 509조원으로, SK하이닉스 시가총액은 186조원에서 259조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코스피 지수를 산출하는 방식도 이같은 착시의 한 원인이 됩니다. 코스피 지수는 전 종목의 시가총액을 더하는 방식, 즉 시가총액 가중 방식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덩치가 큰 종목의 움직임이 많이 반영됩니다.
25일 기준 코스피 전체 시총 2857조원 중 삼성전자 비중은 17%, SK하이닉스 비중은 9%에 달합니다. 코스피 시총의 4분의 1 이상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으로 구성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최근 반도체 등 소수의 섹터로 수급이 쏠린 상황이라며 지수만 보고 투자하기 보다는 산업 사이클이나 종목별 밸류에이션을 확인하고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화·하나·흥국·삼성액티브자산운용ETF 5종목 신규상장
- 금융당국 개편 철회…현안 기대 속 불확실성 여전
- 네이버, 두나무 편입…스테이블코인 판도 바뀐다
- 전북은행, 추석 맞아 2025 '一石二鳥 추석 나눔' 사업 전달식
- 신한은행-예스퓨처, '외국인 고객 서비스 강화' 위해 MOU 체결
- 신한투자증권, 2025 중국시장포럼 성료
- 신한투자증권, 무디스 등급 전망 '안정적'으로 상향
- 비에이치아이, LNG 발전설비 고도화…'친환경 에너지원 연구개발 가속'
- 신한금융지주 회추위, 대표이사 회장 경영승계절차 개시
- JB금융지주, 2025 한국IR대상 시상식에서 IR 우수기업 선정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화·하나·흥국·삼성액티브자산운용ETF 5종목 신규상장
- 2장성군, 빛으로 물드는 ‘황룡강 가을꽃축제’ 기대 UP
- 3여수MBC·순천시 극비 협약식에 여수시민 ‘분노 폭발’
- 4'벼 깨씨무늬병 확산 비상'…김철우 보성군수, 농가 피해 최소화 총력
- 5여수시의회, 여수MBC-순천시 협약에 “특혜와 밀실야합의 산물” 강력 규탄
- 6고흥군·광천김, 500억 원 규모 김 산업 투자협약
- 7완도군, 10월 한 달간 ‘해양치유 맨발걷기 나눔 챌린지’ 진행
- 8코로나19 유행 중…예방수칙 꼭 지켜주세요
- 9남용우(한국경영자총협회 상무)씨 모친상
- 1020만원에 한강 불꽃놀이 좌석 판매한 스벅...돈도 벌고 혼잡도 막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