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시농업기술센터, 고품질 군산쌀 안정생산 '총력'

전국 입력 2022-07-25 10:10:14 이인호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이삭나오기 25~18일 전후 맞춤비료 15kg/10a 권장

군산시청 전경(사진=이인호 기자)

[군산=이인호 기자] 전북 군산시농업기술센터가 고품질 군산쌀 안정생산을 위해 벼 이삭거름의 적기·적량시용을 당부했다.


농기센터에 따르면 이삭거름은 벼 이삭이 줄기 속에서 자라나기 시작할 무렵 수량확보 효과를 보기 위한 웃거름으로, 일반품종의 경우 이삭이 나오기(출수기) 25일 전후 신동진벼는 이삭 나오기 18일 전후에 주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올해는 모내기를 마친 이후 벼 생육기간 동안 일조시간이 전년대비 76시간 적었고 적산온도는 75.4도 정도 높았던 것으로 분석됐다.


시 대표 품종 신동진벼의 경우 지난 5월 25일 이앙기준, 오는 8월 17일경 이삭이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신동진벼 이삭거름은 오는 30부터 8월 1일경에 주는 것이 적기로 판단했다.


벼 이삭거름 주는 시기가 너무 빠르면 등숙불량과 도복에 약하고 늦어지면 목도열병이나 이삭도열병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지는 등 도복·수량·미질에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적기시용이 중요하다.


비료양은 시에서 공급하는 맞춤비료 기준으로 10a당 15kg 내외로 과다 시비가 되지 않도록 하며, 밑거름 시용량이 많아 잎색이 짙은 논은 표준시비보다 일주일 정도 늦춰 주고 염화가리만 10a당 3~4kg를 시비하며, 완효성 비료를 시용한 논은 이삭거름을 생략해도 된다.

 

또 이삭나오기(출수기)전 25일부터 이삭팬 후 10일까지는 벼가 물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시기이므로 논물을 2∼4cm 깊이로 걸러대기를 실시해 뿌리 활력을 높여 줘야 한다.


한편 잦은 강우로 벼가 웃자라거나 약해져 도열병, 잎짚무늬마름병, 혹명나방, 이화명나방 등 병해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출수 전에 적용약제로 종합방제를 해야 한다. /k9613028@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인호 기자 보도본부

k9613028@sedaily.com.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