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연체 7년만 최대…건전성 위기오나

금융 입력 2023-02-13 19:09:54 김미현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저축은행이 지난해 대출을 내줬다가 제때 못 돌려받은 금액이 7년 만에 최대치로 불어났습니다. 올해는 부동산 사업에 내준 대출 연체율까지 급증하면서 저축은행 대출 부실 경고음이 더 커졌습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


[기자]

저축은행이 가계와 기업들에게 빌려준 돈을 제때 못 받는 금액이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으로 저축은행이 내준 대출에서 발생한 연체 금액은 3조4,345억원.


1년 사이 32%가 늘었습니다.


2011년 ‘저축은행 사태’로 업계 구조조정이 일단락된 2015년 이후 7년 만에 최대치입니다.

지난해 고금리 기조가 이어진 것을 고려하면 연말 연체율은 더 증가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연체를 넘어, 아예 돌려받기 어려운 부실채권인 ‘고정이하여신’도 늘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 보유량은 4조1,463억원으로 1년 전보다 22.6% 늘었습니다.


특히, 코로나 기간 3배 이상 불어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 PF대출의 부실 우려가 큰 상황.


저축은행 업권의 PF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3분기말 기준 2.4%로, 2021년 12월 말(1.2%)보다 2배가 뛰었습니다. 전체 금융업권 중 증권사(8.2%) 다음으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특히 부동산 경기에 대한 민감도가 높은 지방 소형 저축은행이 상대적으로 위험한 상황.


[싱크] 신용상 / 금융연구원 금융리스크연구센터장

“사업성이 낮은 지방 중심으로 대출을 하고 있는 지방 저축은행들이, (또) 리스크가 큰 비주택 상업용 부동산에 대출을 하고 있는 지방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리스크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봐야죠."


금융당국은 현재 PF대출이 자기자본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76%로, 예전 저축은행 사태 때인 505%와 비교하면 적고, 충당금도 꾸준히 쌓고 있어 급격한 부실 위험은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하지만 올해도 부동산 경기 부진 추세가 지속될 거란 인식이 지배적이고, 저축은행의 고위험 사업장 관련 대출 비중은 다른 업권보다 크게 높아 세심한 관리는 계속 필요해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미현 기자 금융부

kmh23@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