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의원 "저연차ㆍ하위직공무원 박탈감 해소해야"…보수 현실화법 대표발의

전국 입력 2023-03-23 18:29:56 김재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저연차ㆍ하위직 공무원 퇴직률↑…낮은 봉급이 주요 원인

김남국 국회의원. [사진=김남국 의원실]

[서울경제TV=김재영기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국회의원(경기 안산시 단원구 )은 23일 공무원 보수 결정 원칙에 최저임금을 고려대상에 추가하여 저연차 공무원이 최저임금에 따른 적정한 수준 이상의 급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국가공무원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대표발의했다.


김남국 의원실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7급 국가공무원 시험 경쟁률은 42.7:1로 지난 2012 년 108:1 과 비교해 반토막 수준을 기록했다.


또한 9급 국가공무원 경쟁률은 지난 2012 년 72.1:1 수준이었으나 올해 경쟁률은 22.8:1로 2012년 기준으로 약 75%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경쟁률의 경우 31년 만에 가장 낮은 수치이기도 하다 .


한편 행정안전부 국가공무원 의원면직자 현황을 살펴보면, 2018년 1만 694명 수준에서 2021년 1만 4,312 명으로 33.8% 증가했다. 


공무원연금공단 측에 따르면, 저연차 · 하위직 공무원의 자발적 퇴직은 2018년 5,166명에서 2021년 9,881 명으로 2 배에 가까운 수준으로 증가했다.


국가기관 등에서 실무를 담당해야 할 저연차 · 하위직 공무원의 퇴직률이 증가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낮은 급여가 꼽힌다. 


인사혁신처가 공개한 2023년 직종별 공무원 봉급표에 따르면, 9급 공무원 초임 기준 보수액은 월 177만800원(기본급)과 직급보조비, 정액급식비 등의 수당으로 이루어져 최저임금 수준인 201만580원과 큰 차이가 없는 상황이다.


이에 더불어민주당 김남국 의원은 "치열한 경쟁을 뚫고 국가를 위해 일하겠다고 나선 청년들에게 최저임금 수준에 불과한 급여나 부족한 처우 등으로 박탈감을 주어서는 안 된다"고 지적하면서 "공무원 급여 책정 시 최저임금을 고려하도록 규정해 저연차 · 하위직 공무원들의 급여를 최소한 최저임금 수준으로 맞추는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jy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재영 기자 보도본부

jykim@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