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되는 경기 침체…건설사, '신사업'으로 버틴다

부동산 입력 2024-01-29 10:49:56 수정 2024-01-29 11:02:32 이지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PF부실화 여파 · 주택 인허가 규모 급감 등 시장 악화

원전·해상풍력 등 신사업으로 다각화 불황기 극복 모색

[사진=서울경제TV]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올해도 이어지는 건설경기 침체 속에 건설사들은 국내 사업으로 주택 건설 보다는 원전 등 친환경 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해 불황기를 버텨낸다는 전략이다. 특히 일찍부터 원전이나 해상풍력과 같은 신사업으로 포트폴리오를 확장해 온 건설사들은 관련 부서를 확장하는 등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목표다.
 

건설사들의 주력 분야인 주택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인허가부터 착공까지 줄줄이 뒤로 밀리고 있다.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누적 주택 인허가는 29만 4,471호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동기 대비 36.9% 감소한 수준이다. 같은 기간 누적 주택 착공 또한 17만 378호로 전년 동기 대비 52.4% 감소했다. 건설업계가 신사업으로 눈을 돌리는 이유다.
 

현대건설은 대형원전, 소형모듈원전(SMR) 등 원자력 사업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하반기 신에너지 사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묶은 '뉴에너지 사업부'를 신설하였으며, 원자력 사업 전반을 아우르는 원자력사업실, 신재생사업과 송변전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성과도 내고 있다. 지난해 말에는 두산에너빌리티, 포스코이앤씨와 함께 3조 1,000억 원 규모의 신한울 원전 3·4호기를 수주한 바 있다. 현대건설의 수주 금액은 3조 1,000억 원의 55%에 해당하는 1조 7,157억 원이다.
 

GS건설은 모듈러 주택과 2차전지 배터리 재활용 사업에 초점을 맞춘다. 지난해 4월 모듈러 방식 조립식 주택인 '자이가이스트'를 내놓은 만큼, 올해도 이 사업에 공을 들인다. GS건설 관계자는 "자이가이스트가 출범한 이후로 소비자들에게 꾸준히 문의가 들어오고 수요도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주택사업의 경우 비중은 크게 늘리지 않는 모습이다. 그나마 부동산PF 보증을 떠안지 않아도 되는 도시정비사업에 집중할 것으로 보이는데, 이마저도 서울과 수도권에서 알짜 사업장만을 선별해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실제 건설사들은 원자잿값 상승과 고금리 여파에 소극적인 수주 활동을 펼쳐왔다. 10대 건설사 도시정비사업 수주액은 2021년 약 29조 원에서 2022년 약 40조 원으로 크게 늘었다가 지난해는 19조 원으로 줄어들었다. 첫째도 둘째도 수익성을 우선시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삼성물산 건설부문 관계자는 "서울시의 정비사업 규제 완화 정책에 발주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수익성을 꼼꼼히 따져 선별적으로 들어간다"는 목표다. 다음 달 15일 마감되는 '노량진 1구역 재개발' 사업 시공사 입찰에 참여할 거란 전망이 우세했지만, 관계자에 따르면 사업성이 맞지 않아 들어가지 않을 공산이 크다.
 

현대건설과 DL이앤씨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수도권 내 대규모 사업지 위주로 수주에 참여한다는 방침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창사 이래 가장 많은 수주액(4조5,988억 원)을 기록했는데, 올해에도 비슷한 수준의 수주액을 목표로 잡았다. 눈여겨보고 있는 사업지로는 여의도 한양 아파트 재건축, 가락 미륭 재건축, 부산 시민촉진 2-1구역 재개발 사업을 꼽았다.
 

롯데건설은 신규 수주보다는 기존에 수주했던 사업의 착공과 분양에 집중한다는 계획이다. 최근 몇 년간 금융 관련 우려를 받아온 만큼, 신규 수주로 또다시 채무를 늘리기보다는 재무구조를 안정화 시키겠다는 구상으로 해석된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지영 기자 산업2부

easy@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0/250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