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뉴스

    • 서울시, 건설현장 안전 품질관리 혁신방안 발표

      [서울경지TV=서정덕기자]서울시는 지난 23일 국내 최초로 실행하는 동영상 기록관리를 통한 건설현장 안전 품질관리 혁신방안을 발표했다.   안전, 품질, 유지관리의 3개 측면 개선을 필두로, 지난해 7월부터 100억원 이상의 공공 공사장의 시공부터 전 과정을 동영상으로 기록했다. 이를 통해 기존, 시공 후 확인이 불가한 작업 등의 현황에 대한 기록관리를 통해 사고 발생 시 원인파악에 긴요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 핵심이다.   건설업은 전체 산업재해 사망사고의 50% 이상이 발생하는 업종으로 지난 10..

      경제2023-03-25

      뉴스 상세보기
    • 중대재해법 1년…반복되는 건설현장 사망 사고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앵커]내일이면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 딱 1년이 됩니다. 기업들은 안전조직을 확대하고, 첨단 장치들을 도입하는 등 안전 관리에 집중했지만, 정작 사고는 피하지 못했습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기자]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 지난해 341명의 노동자가 건설 현장에서 목숨을 잃었습니다.수치로는 1년 전 417명보다 줄었다고 할 수 있겠지만, 노동자들이 생명을 잃는 끔찍한 사고가 끊이질 않은 겁니다.분기별로 살펴봐도 중대재해법 시행으로 사망사고 예방 효과를 거뒀다고 보긴 어렵습니다.국토교통부가 건설공사 안전..

      부동산2023-01-26

      뉴스 상세보기
    • 국토안전관리원 ‘건설사고 사례집’ 발간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국토안전관리원(이하 관리원)은 16일 건설현장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도록 ‘건설사고 사례집’을 제작해 관리원 누리집과 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정보망에 게시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집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발생한 건설사고 중 명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관리원이 직접 현장조사를 실시한 50건의 사망사고를 분석한 것이다. 사고 유형으로는 건설현장에서 자주 발생하는 떨어짐과 깔림사고, 공종으로는 건설기계 및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위주로 제작됐다. 또한 건설기준코..

      부동산2023-01-16

      뉴스 상세보기
    • 포스코건설, 작년 '중대재해 0'…전 직원 200만 원 받아

      [서울경제TV=이지영기자] 포스코건설은 국내 10대 건설사 중 2022년도 중대재해가 발생되지 않은 유일한 건설사가 됨에 따라 전 직원들에게 안전 인센티브를 지급했다고 9일 밝혔다. 포스코건설의 '무재해 달성 인센티브' 제도는 2021년부터 상하반기로 나눠 중대재해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 소정 금액의 인센티브를 전 직원에게 지급하는 것이 골자다. 2021년 상반기 첫해에는 전 직원에게 50만 원을 지급한 바 있고 지난해에는 상하반기 모두 중대재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음에 따라 각 100만 원씩 총 200만 원을 전..

      부동산2023-01-09

      뉴스 상세보기
    • 제주대 기숙사 인명사고…공사업체, 첫 중대재해법 적용

      [제주=금용훈 기자] 제주대학교 기숙사와 관련 발생한 인명사고로 공사업체의 원청 대표가 법적 책임을 지게 됐다.지난 2월 일어난 제주대학교 기숙사 인명사고와 관련, 30일 원청 대표이사 A씨가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혐의로 법적 책임을 지게 됐다고 제주 검찰이 밝혔다.제주도에서 산업재해 인명사고로 노동자를 직접 고용 하지 않은 원청대표가 법적 책임을  지게 된 것은 제주대 기숙사 사건이 처음이다.이 사건은 중장비 조종을 겸한 하도급 업체 대표 B씨(55)가 기숙사 건물의 높이 약 12m 굴뚝을 철거하는 과정에서..

      전국2022-12-30

      뉴스 상세보기
    • 대구고용노동청, 대구·경북지역 50억 이상 건설현장 안전보건관리체계 현장 작동여부 집중 지도 실시

      [대구=김정희기자] 대구지방고용노동청(청장 김규석)은 올해 말까지 안전보건공단과 대구·경북지역 50억 이상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건설현장(430개소)을 중심으로 중대재해처벌법(이하 ‘중대법’)에 따른 안전보건관리체계가 작업 현장에서 실제로 작동되고 있는지를 집중 지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일로부터 11월 30일까지 50억 이상 건설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사고는 6건이고, 그 중 3건은 유해위험방지계획서 대상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등 방지계획서 현장이 차지하는 사망사고 비율은 현..

      전국2022-12-06

      뉴스 상세보기
    • 대구지방노동청, 사망사고 발생 식품제조업체 중대재해처벌법 위반 조사

      [대구=김정희기자] 대구지방고용노동청과 대구서부고용노동지청은 4일 대구 달성군 식품제조업체에서 발생한 ‘리프트 끼임 사망사고’에 대해 작업중지 조치 후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을 조사하고 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은 이번 사망사고 발생의 근본적 원인은 제조업체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조치인 ‘끼임 예방조치 미실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지 10개월 이상 지났음에도 50인 이상 제조업체에서 기본적인 안전조치 미흡으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것은 중대재해처벌법에 따른 안전관리체계가 현장에..

      전국2022-12-05

      뉴스 상세보기
    • 한국중부발전, 적극행정 경진대회 장려상 수상

      [서울경제TV=성낙윤기자] 한국중부발전은 지난 2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행정안전부와 인사혁신처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정부 적극행정경진대회에서 수중 무인 이물질 제거로봇 기술 개발로 장려상을 수상했다고 28일 밝혔다.   발전소에서는 전기를 생산하기 위해 바닷물을 끌어와 냉각수로 사용하는데 이 과정에서 유입되는 수중의 모래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잠수부를 투입해 왔으나, 잠수부가 이물질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사망사고가 발생하는 사례가 있었다.   이에 한국중부발전 제주발전본부에서는 무인로봇을 이용해 국민의 생..

      산업·IT2022-11-28

      뉴스 상세보기
    • 이태규 의원 '교육시설 해체공사때 안전성평가·이용자 안전 확보' 법안 발의

      [제주=금용훈 기자] 이태규 의원은 교육시설 안전 강화를 위해 건축물의 신축․개축․재축․이전 및 대수선 중인 교육시설의 소방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교육시설 해체공사 시 안전성평가 실시하도록 하는 '교육시설 등의 안전 및 유지관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 2건을 대표발의 했다.   현재 교육시설은 소방시설 관련 법령에 따라 스프링클러설비 또는 간이스프링클러설비 등의 소방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나, 그 규모가 의무설치 기준에 해당하지 않는 다수의 교육시설에는 해당 소방시설이 ..

      전국2022-11-03

      뉴스 상세보기
    • 대구고용노동청, 사망사고 발생 50억원 이상 건설현장 ‘엄정 수사’

      [대구=김정희기자] 대구지방고용노동청과 대구서부고용노동지청은 지난 25일 대구 달서구 주택재정비 사업지구에서 발생한 ‘엘리베이트 상부 형틀작업자 추락사망사고’에 대해 작업중지 조치 후 산업안전보건법과 중대재해처벌법 위반을 조사하고 있다. 대구지방고용노동청은 이번 사망사고 발생의 근본적 원인은 건설현장의 가장 기본적인 안전조치인 ‘추락사고 위험 작업 중 추락방지조치 미실시’에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중대재해처벌법이 시행된지 9개월 가량 지났음에도 대형 건설사 시공현장에서조차 기본적인 안전조치 미흡으로 사망사고가..

      전국2022-10-31

      뉴스 상세보기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