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검색
  • 뉴스

    • 9월 은행 가계대출 금리 0.07%p 상승…두 달 연속 ↑

      지난달 은행권의 가계대출 금리가 두 달 연속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한국은행이 오늘(27일) 발표한 '9월중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에 따르면 지난달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연 4.90%로 8월(4.83%)보다 0.07%포인트(p) 상승했습니다.가계대출 금리는 지난 6월과 7월 하락세를 보이다, 8월 이후 급등 양상을 보였는데 이런 금리 인상은 미국 긴축 장기화 등의 여파로 은행채 등 시장 금리가 뛴 영향으로 풀이됩니다.대출 종류별로는 주택담보대출(4.35%)과 일반 신용대출(6.59%)이 각 0.04% 포인트, 0..

      금융2023-10-27

      뉴스 상세보기
    • 은행연체율 3년 만에 최고치…'경고등' 켜졌다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국내은행의 대출(원화 기준) 연체율이  3년6개월 만에 최고치까지 치솟았다. 가계대출이 급증한데 이어 고금리 상황이 지속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현재 금리인상 기조와 대내외 불안상황을 고려하면 은행들의 리스크 관리에 경고등이  켜졌다는 분석이다. 금융감독원이 25일 발표한 '2023년 8월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 현황'(장정치)을 보면 0.43%로 한달전 보다 0.04%포인트 뛰었다. 1년전 같은 달과 비교해서는0.19%포인트 상승한 규모다. 지난 8월 신규연체..

      금융2023-10-25

      뉴스 상세보기
    • 광주시, 도심‧중평형대 공공임대주택 최초 공급

      [광주=신홍관 기자] 광주시가 실수요자들이 선호하는 도시 중앙에 위치한 중형 평형대 장기 공공 임대주택을 지역 최초로 공급한다.광주광역시와 광주도시공사는 20일 상무지구 치평동 1166번지(옛 상무소각장 동쪽 부지)에서 ‘광주형 통합공공임대주택 건립사업 착공식’을 가졌다.이 자리에는 강기정 시장과 정민곤 광주도시공사장, 심철의 광주시의회 부의장과 임미란·명진·김나윤·강수훈·안평환·박수기·김용임·조석호 시의원, 서구의회 의원, 정기섭 대한주택건설협회 광주전남도회장, 정인채 대한건축사협회 광주건축사회장, 시민 등..

      전국2023-10-20

      뉴스 상세보기
    • '위험' 우려에도…기업대출 더 힘주는 은행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기업대출'을 꾸준히 늘려왔던 은행권들이 최근 '확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습니다. 정부의 기업 살리기 기조에 이어 가계대출 규제가 기업대출로 시선을 돌린 영향으로도 보이는데요. 하지만 부실 위험이 커져 건전성 관리가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기자]은행권이 최근 '기업대출'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습니다.은행권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기업대출 규모는 올해 들어서 약 5%씩 증가했습니다. 특히 공격적..

      금융2023-10-18

      뉴스 상세보기
    • NH농협, 우대금리 축소…은행권 대출금리 ‘줄인상’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NH농협은행이 오늘부터 가계대출 우대금리를 일부 축소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주택담보대출은 우대금리를 0.2%포인트, 전세자금대출은 우대금리를 0.3%포인트 축소 적용합니다.우대금리를 축소하면, 사실상 대출금리를 인상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은행권 대출금리는 준거금리에 가산금리를 더한 뒤 우대금리를 빼는 방식으로 산출합니다.이번 조치는 가계대출 급증을 억제하려는 금융당국의 노력에 발맞춰 금리 인상으로 대출 수요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앞서 다른 시중은행들도 가산금리 인상, 우대금리 축소 등으로 대..

      금융2023-10-17

      뉴스 상세보기
    • 멈출 줄 모르는 주담대…당국 수요 억제 나선다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앵커]9월 가계대출이 또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고금리에도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수요는 계속됐는데요. 금융당국도 가계대출 증가 억제를 위해 대출 옥죄기에 적극 나설 것으로 보입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돕니다.[기자]지난달 가계대출 잔액이 또 사상 최대 규모를 갈아치웠습니다.오늘(1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9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은행 가계대출(정책모기지론 포함) 잔액은 1079조8,000억원으로,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8월 말보다 4조..

      금융2023-10-12

      뉴스 상세보기
    • [이슈플러스]김빠진 ‘금융국감’…'가계부채'만 공방 예고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앵커]오는 11일부터 금융권 국정감사 일정이 시작됩니다. 올해 금융권에서는 거액 횡령과 배임 등 각종 금융 사고가 잇따라 발생했었던 만큼 적지 않은 긴장감이 흐르고 있는데요. 이번 국감의 현안과 주요 쟁점은 무엇일지 금융부 김수빈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기자]안녕하세요.[앵커]먼저 국감에서 논의될 최대 금융권 화두부터 짚어보겠습니다. 아무래도 잇따른 금융사고로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가장 우선 순위에 있다죠?[기자]네, 그렇습니다. 이번 국감에서는 내부통제 부실 문제가 가장 중점적으로..

      금융2023-10-06

      뉴스 상세보기
    • 연소득 1억원‧6억원 넘는 주택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중단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부부합산 연소득이 1억원을 넘거나 주택가격이 6억원이 초과한 특례보금자리론 신청이 중단된다.  주택금융공사는 27일부터 이같은 대상자들에 대한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접수를 중단 한다고 26일 밝혔다. 또 기존 주택을 3년 내에 처분하는 조건으로 신규주택을 구입하는 일시적 2주택자도 특례보금자리론 신청 중단 대상에 포함됐다. 이는 최근 가계대출의 급증 중 하나로 정책금융상품인 특례보금자리론이 지목되면서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조치다. 주금공은 이와함께 10월 특례보금자리..

      금융2023-09-26

      뉴스 상세보기
    • 대출 고삐풀린 은행…연체율 또 증가

      [앵커]은행에 돈을 빌리고 제때 갚지 못하는 비율이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습니다.문제는 부실 우려가 여전한데도 가계 대출 규모는 계속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기자]7월 말 국내 은행권의 대출 연체율이 전달 대비 소폭 상승세를 보였습니다.오늘 금융감독원이 공개한 국내 은행 대출 연체율은 0.39%로 한 달 전보다 0.04%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로는 0.17%포인트 높습니다.연체율은 기업과 가계 상관없이 모두 올랐습니다. 은행의 7월 기업 대출 연체율은 0.41%로 직전 달보다 0.04%포인트 올랐고..

      금융2023-09-19

      뉴스 상세보기
    • 주담대 3년만에 최고치… 당국, 특례론 요건 강화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앵커]전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이 3년여 만에 또다시 역대 최고폭으로 증가했습니다. 위기감을 느낀 금융당국도 DSR 규제를 강화하는 방안을 내놓았지만, 부채증가를 자초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수빈 기자의 보도입니다.[기자]지난달 은행권의 주택담보대출 증가폭이 3년 6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한국은행이 오늘(13일) 내놓은 '2023년 8월 중 금융시장 동향'을 보면 주담대는 한달새 7조원 증가하며 2020년 2월(7조8,000억원)이후 최대 증가폭을 나타냈습니다.지난달 신용대출은(-1,000억원..

      금융2023-09-13

      뉴스 상세보기

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