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권, 여신 보수화 강화…내년 대출 더 죈다
금융·증권
입력 2025-11-27 17:17:54
수정 2025-11-27 18:21:50
이연아 기자
0개
은행권이 내년 가계대출 목표를 올해보다 더 줄이는 방향으로 경영계획을 조정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관리 기조와 위험가중치 규제 강화가 맞물리며 대출시장 위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시중은행과 지방은행, 인터넷은행 등 은행권이 내년도 경영계획에서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치를 축소하는 방향으로 조정하고 있습니다.
은행권이 내년도 가계대출 증가율 목표를 올해 대비 평균 1.5~2.0%p 낮추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
올해는 이미 연말을 앞두고 주요 시중은행들의 가계대출 조기 셧다운이 이뤄졌습니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2일 비대면, 24일 대면 창구를 통한 주택담보대출 신규 접수를 중단했고, 하나은행도 지난 25일부터 올해 실행분 주담대와 전세대출 접수를 막았습니다.
4대 은행(KB국민, 신한, 하나, 우리)의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당초 목표보다 약 33% 초과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총량 한계에 도달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일부 은행에서는 내년도 가계대출 심사 기준을 추가로 강화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고, 올해 조기 집행된 대출 물량을 내년도 총량 배정에서 차감하는 안도 검토 중입니다.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기조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당국은 올해부터 가계대출 증가율은 경상성장률 이내 관리하겠다는 원칙을 수차례 강조하고 있고, 최근 환율 상승세와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으로 당국이 경계하는 지표가 재부상하면서, 규제 완화 기대가 낮아지고 있습니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도 가계대출 증가폭이 확대됐고 수도권 주택시장에서는 가격 상승 기대감이 여전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은행 가계대출 증감 규모를 보면 10월에만 3조5000억원 넘게 늘었고, 주담대는 전체 가계대출이 줄었던 9월에도 증가했습니다.
주택 매매가격은 특히 서울 수도권(서울,인천,경기)을 중심으로 상승 속도가 빨라지는 흐름입니다.
여기에 가계대출에 적용되는 위험가중치(RW) 상향 등 규제가 추가되면서, 내년에도 대출 공급은 지금보다 더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네이버-두나무 합친다…'20조 핀테크 공룡' 탄생
- 한은 기준금리 연 2.5% 동결…환율·집값 상승 고려
- 제노코, 누리호 4차 발사 성공…차세대중형위성에 'X-band Transmitter' 탑재
- NH농협은행, 내년 조직개편…AX·생산적 금융에 초점
- 나노실리칸첨단소재, 중동 의약품 보안기업과 위조방지 물품 공급 계약
- 파미셀, 서울아산병원과 첨단재생의료 CMO 계약 체결
- 하나저축은행, 하나더소호 동행 적금 출시
- 업비트, 445억 규모 해킹 사고…입출금 서비스 중단
- KB금융, 광복 80주년 '다시 쓰는 대한이 살았다' 시상식 개최
- KB국민카드, 금융사기 예방 체계 고도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장흥군, 24만 명 사로잡은 '치유 메카'로 우뚝
- 2보성군, '녹차골 청춘식당'으로 어르신 삶에 활력 불어넣어
- 3제약업계, 비대위 가동… "약가 인하, R&D 위축·수입약 의존 심화시킬 것"
- 4임성기재단, 가톨릭대 의대 조미라 교수에 희귀질환 연구비 6억원 지원
- 5남원시, 자원봉사자의 날 기념식 열고 헌신의 한 해를 기리다
- 6정진호이펙트, 한부모 가정 돕는 ‘이엉바자회’ 참석
- 7고창군, '고독사 제로화' 위한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
- 8고창 상하농원 '한국관광의 별' 지역상생관광모델 선정
- 9남원보호관찰소, 사회봉사 협력기관 간담회 개최
- 10LS MnM 구동휘, 경영 시험대…2차전지 신사업 ‘불투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