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상공인들 “카카오 일방적 상생안 유감”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소상공인들은 카카오가 선보인 골목상권 상생방안에 대해 일방적인 발표라고 유감을 표했습니다. 특히 몸통은 덮어둔 채 꼬리자르기로 일관한 '면피용 대책'에 불과하다고 거세게 비판했습니다. 김수빈 기잡니다.
[기자]
소상공인연합회는 오늘(16일) 카카오가 지난 14일에 내놓은 골목상권 상생안에 대해 혹평을 쏟아냈습니다.
앞서 카카오가 제시한 상생 대책에는 꽃, 간식 샐러드 배달 서비스 등 사업 철수와 소상공인을 위한 3,000억원의 상생기금 조성 등이 담겼습니다.
하지만 해당 상생안은 비판적 여론을 일시적으로 모면하기 위한 면피용 대책에 불과하다는 지적입니다.
특히 소상공인연합회를 비롯한 관련 단체와 협의가 전혀 없었던 '일방적인 상생안'이라며 강한 유감을 표했고,
더군다나 소상공인을 위해 지원하겠다는 3,000억원에 대해서도 구체적인 활용 계획이 없어 '눈 가리고 아웅식'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카카오가 철수 의사를 밝힌 사업과 관련해 거센 반발을 일고 있는 대리운전 시장, 카카오 헤어샵 등은 언급되지 않았다고 말했습니다.
'카카오 헤어샵'의 경우, 고객 첫 방문 시 수수료 25%를 받고 있어 '수수료 횡포'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카카오톡 선물하기' 역시 평균 수수료는 약 10%로, 5% 내외인 네이버 선물샵과 비교했을 때 2배 가량 비싼 편입니다.
하지만 값비싼 수수료에도 카카오가 넘겨주는 손님에 의존해야하는 종속적 시장 구조는 소상공인에게 절망적이란 겁니다.
소상공인연합회는 카카오가 진정한 상생을 내세우기 위해 대리운전, 헤어샵 등 소상공인의 생존을 위협하는 시장에서 즉각 물러나 무분별한 진출을 멈춰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어 정부의 역할도 강조했습니다.
현재 계류 중인 '온라인플랫폼 공정화법' 제정을 서둘러 빅테크 기업을 제어할 수 있는 방안을 수립해야한다고 촉구했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G, 3분기 영업익 4653억…전년比 11.4%↑
- CJ CGV, 3분기 영업익 233억…전년比 27.2%↓
- 아모레퍼시픽 그룹, 3분기 영업익 1043억…전년比 41%↑
- BGF리테일, 3분기 영업익 977억…전년比 7.1%↑
- 한국앤컴퍼니그룹, 글로벌 車부품 전시회 공동 참가
- CJ프레시웨이, 3분기 영업익 336억…전년比 19%↑
- 건설업계, CEO 인사 칼바람?…“교체보다 안정”
- 하이트진로, 성장 제동…국내도 해외도 ‘막막’
- 게임업계, 연쇄 구조조정…“대작 개발 방식 재검토”
- 현대차 무뇨스 “올해 위기 대응력 증명”…‘수익성 강화’ 주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장군, 고리원전 사고 대비 방사능방재 집중훈련 실시
- 2인천국제디자인페어, AI와 ‘사람 중심 디자인’ 조명
- 3‘게임체인저’ 선언 이후…경기북부 규제완화 속도전
- 4영남이공대, 지역연계 신산업 진로체험 프로그램 성과평가회 개최
- 5영덕군, 2026년 어촌신활력증진사업 공모 선정
- 6영덕군, 2025·26 산불 감시원 발대식 개최
- 7영덕군, 영덕도예문화체험장 본격 개장
- 8계명문화대, 우즈베키스탄 KOICA 직업훈련원과 직업교육 협력 강화
- 9영남대, ‘국내 TOP5’ 연구력 입증…라이덴랭킹 2년 연속 쾌거
- 10iM뱅크(아이엠뱅크), 2025 을지연습 평가결과 ‘최우수 기관’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