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어킴 “셰어하우스도 1인실이 대세…점유율 큰 폭 증가”

1인 가구가 증가하면서 셰어하우스도 1인실이 강세다.
12일 셰어하우스 전문 플랫폼 셰어킴에 따르면 이번 달 기준 서울에 있는 셰어하우스의 1인실 점유율은 56.3%, 2인실 점유율은 34.2%로 나타났다. 3인 이상의 다인실 점유율은 9.6%에 그쳤다. 특히 1인실의 경우 지난해와 비교해 점유율이 약 12.2% 늘면서 1인 가구의 수요 중 가장 인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셰어하우스 거주 인원이 가장 많은 곳은 765명이 사는 마포구로 나타났다. 이어 △서대문구(494명) △강남구(429명) △관악구(303명) △광진구(289명) △성북구(260명) 순으로 집계됐다.
셰어하우스가 가장 많은 곳도 마포구가 139곳으로 1위를 기록했다. △강남구(70곳) △서대문구(62곳) △관악구(61곳) △광진구(45곳) △성북구(36곳)가 뒤를 이었다. 모두 학생과 수험생 수요가 많거나 강남권 등이 가까워 직장인 수요가 많은 곳이다.

셰어하우스의 주택 유형은 다세대·다가구, 연립주택을 포함한 빌라가 5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아파트(18.8%) △단독주택(18.4%) △기타(7.5%) △오피스텔(1.9%) △원룸(0.5%) 순으로 나타났다.
셰어킴이 서울에 등록된 셰어하우스 705곳과 룸 3,245개를 기준으로 조사한 결과 입주자 남녀 비율은 남성 14%, 여성 86%로 나타났다. 1년 전과 비교해 여성의 입주비율이 약 3% 증가했다.
또 서울 셰어하우스 평균 보증금은 160만원으로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해 21만4,000원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임대료는 42만1,000원으로 같은 기간 5,000원 하락했다.
셰어킴 관계자는 “1인 가구가 거주하기 편한 구조에 취사 및 휴식을 위한 다양한 옵션이 있는 셰어하우스 수요가 점점 늘고 있다”며 “원룸 대비 저렴한 보증금과 월세, 그리고 생활에 필요한 가전가구를 갖춰 1인 청년 가구의 경제적인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셰어킴에 등록된 국내 셰어하우스 룸은 총 3,245개이며, 등록된 침대 수는 5,001개다. 셰어킴은 매년 6월과 12월 연 2회 셰어하우스 관련 통계자료를 발표하고 있다. 자세한 정보 및 통계 자료는 셰어킴 공식 홈페이지와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유민호기자 you@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닌텐도 스위치 2’ 판매 코앞…국내 게임사 이식 가능성은
- 현대차, 車관세에도 美시장서 두 달간 가격 인상 안 할 것
- 주먹구구 계산법이라 비판받는 트럼프 상호관세율
- 美中 무역 전쟁 심화…가운데서 ‘이중고’ 겪을 수 있는 韓
- 스페이스X, 수조원대 美국방부 위성발사 계약 수주
- 쎄크·바이오비쥬, 코스닥 상장 공모가 내주 확정
- 美中 무역 전쟁 격화…애플 200달러·엔비디아 100달러선 무너졌다
- 에프제이코리아, ‘디사론노 갓파더 위크’ 개최
-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전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고려"
- 美 관세 부과에 통상전쟁 격화…움츠러드는 기업공개 시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세훈 서울시장, ‘주말 도심 집회 안전대책회의’ 열어 대응계획 점검
- 2유족 인터뷰 "시간 흘러도 눈물은 멈추지 않아요" 유가족들, 참사 잊혀지는 게 가장 두렵다 사고 원인 조사와 특별법 제정 등 시급
- 3경남도, 도내 지하차도 52곳 안전점검 실시
- 4"아들, 천국선 편히 쉬렴"…추모제 눈물 바다
- 5‘닌텐도 스위치 2’ 판매 코앞…국내 게임사 이식 가능성은
- 6고용부 창원지청, 산불 사망 사고 관련해 중처법 위반 여부 본격 조사
- 7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100일 추모식 엄수
- 8현대차, 車관세에도 美시장서 두 달간 가격 인상 안 할 것
- 9용인시, 체납자 압류 동산 자체 공매시스템 구축 계획
- 10변덕스러운 날씨에 유채꽃축제 2년 연속 불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