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 수급지수 40개월만에 최고…“전남·세종·대구 전세품귀”

[서울경제TV=정창신기자] 대구, 세종 등 입주물량이 감소한 곳을 중심으로 전세 수급상황이 나빠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아파트 분양평가업체 리얼하우스가 국민은행 시세 자료를 분석한 결과 2월 전남·세종·대구 지역 전세수급지수가 180을 넘어섰다.
전남이 187.9를 기록해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세종(180.8), 대구(180.7) 순으로 나타났다. 이 지수가 180을 넘은 지역은 3곳뿐이다. 전국 전세수급지수는 평균 157.7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58.8포인트나 급상승했다. 이는 지난 2016년 11월(164.4) 이후 40개월 만에 최고 수준이다.
전세수급지수는 전세수요 대비 공급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0∼200 범위에서 수치가 높을수록 전세 공급 부족을, 낮을수록 수요 부족을 뜻한다.
KB부동산 관계자는 “전세 수급이 균형 상태일 때는 100을 나타내는데 전세수급지수가 100보다 높이 올라가면 전세 물건이 없어 매매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고, 100이하로 떨어지면 전세공급이 많아 매매가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업계에선 전세 부족에 가격이 오르면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한다.
양지영 R&C연구소 소장은 “대구, 세종, 전남, 광주 등 주요 지역에서 전세품귀현상이 계속되고 있는데다가 전세가격마저 치솟으면 전세를 끼고 주택을 장만하려는 투자수요가 늘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대구시청 이전 호재가 있는 달서구, 입주물량 감소로 전세수급이 어려워지고 있는 세종시 등이 주요 타깃지역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160.8), 경기(150.4), 인천(159.2) 등 수도권 전세수급상황도 나빠지고 있다. 지난해 2월 기준 서울의 전세수급 지수는 87.5에 불과했지만 1년 새 73.3포인트 급등했다. 경기지역도 83.7에서 66.6 포인트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 전기차 고객 10명 중 6명은 3040…20대 구매 증가
- 4년 반 동안 외화 위·변조 4억 5000만원 적발
- 국내 달러 스테이블코인 보유량 1년새 2배로 증가
- 불법 외환거래, 최근 6년간 13조 2000억원 규모 적발
- APEC 앞둔 경주시 "숙박 바가지요금 엄정 조치"
- 큰 사과, 특상-중하품 가격차 '역대 최대'
- LG전자, 美대기분야 국제숙련도 평가서 4년 연속 최우수 인증
- 올해 9월까지 분양 물량 14여만가구…분양 절벽 '우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임미애 의원 “mz 해양경찰, 5년도 못 버티고 떠나”. . .해양경찰 조직문화 개선 시급
- 2김위상 의원 “천연기념물까지 쾅! ‘버드스트라이크’ 5년 새 2배 늘어”
- 3김승수 의원 “세계는 한복에 주목…정부 지원은 여전히 부족”
- 4차규근 의원 “최근 3년새 SNS 마켓업 수입금액 2배 이상 증가,30대 가장 많아”
- 5차규근 의원 “게임 아이템 거래 시장, 5년간 3조원 이상 거래됐다”
- 6강대식 의원 "가짜 원산지 축산물ㆍ중국 김치...군 급식 이대로 괜찮나"
- 7대구대-라온엔터테인먼트, 게임 산업 발전 위한 업무 협약 체결
- 8성형·피부과 5년간 20% 급증…소아청소년과 2% 감소
- 9SNS마켓, 여성·30대 주도…"2년간 3배 성장"
- 10전기차 고객 10명 중 6명은 3040…20대 구매 증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