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주, 정제마진 회복에 상반기 전망 ‘맑음’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앵커]
지난달부터 국제 유가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국 원유 재고 감소와 일부 OPEC 산유국 증산목표 미달 등으로 정제마진 강세가 지속되며 국내 정유주의 주가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는데요, 윤혜림 기자가 내용 전해드립니다.
[기자]
지난해 11월 오미크론 변이바이러스 확산 여파로 급락하던 국제유가가 다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국내유가의 선행지표인 국제 유가 중 북해 브렌트유(3월 인도분)는 어제 배럴당 81.75달러에 거래되며 강세를 보였습니다.
같은 날(현지시간 9일) 서부텍사스산 원유(WTI, 2월 인도분)는 배럴당 78.9달러, 두바이유는 배럴당 79.7달러로 3대 유가는 지난달 대비 평균 10% 넘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에 11월 중순 배럴당 2.2달러까지 급락한 싱가포르 복합정제마진도 배럴당 평균 13.3달러까지 상승했습니다.
이는 싱가포르 전체 석유제품 재고가 축소되고, 미국 휘발유 재고 또한 2주 연속 감소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입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석유수출기구(OPEC)와 러시아 등 비 OPEC 산유국들의 협의체인 ‘OPEC 플러스(+)’가 다음 달에도 하루 40만 배럴씩 증산하기로 한 지난해 계획을 유지하기로 하며 국제유가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제마진과 국제유가 상승 등 정유부문 강세 사이클이 지속될 것이란 전망에 S-Oil은 13.54%, SK이노베이션은 3.56%, 금호석유는 3.61% 등 지난주 국내 정유주들의 주가가 일제히 상승했습니다.
증권업계에서는 올해 아시아 정유업황 강세가 이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놨습니다.
황규원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코로나19 돌연변이에 익숙해지면서 글로벌 정유제품 수요는 하루당 1억배럴을 회복했다”며 “정유업계는 연중 내내 호황이 예상되지만, 중반부터 글로벌 원유시장 공급과잉 전환으로 원유재고평가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습니다. 서울경제TV 윤혜림입니다./grace_rim@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4000피 코앞' 불장에 코스피 거래대금 '4년 만 최대'
- 외국인 투자자, 코스피서 1000조원 돌파…반도체 대형주 집중 매수
- 하나금융, '금융원 최초' 이사회 내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
- 김천 김밥축제 찾은 삼성증권, '주식불장' 소스로 이색 마케팅
- 하나금융, 이사회 소비자보호위원회 신설…"전면적 쇄신 이룰 것”
- 金 폭락에 개미 패닉…“지금이 오히려 기회”
- 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다음 주 3분기 GDP 발표… 산업·인구·금융 통계도 공개
- 다음 주 코스닥 상장 기업 청약·수요조사 잇따라… 이노테크·핑크퐁 등 주목
- 예상 밑돈 美 물가… 뉴욕증시 3대 지수 사상 최고치 경신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