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조 시장 노린다”…‘이중항체’ 신약 개발 속도

[앵커]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하나의 항체로 두 개 항체 효과를 동시에 기대할 수 있는 ‘이중항체’ 기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중항체 시장이 계속 커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관련 업계가 신약 개발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모습인데요. 서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국내 제약바이오업계가 이중항체 신약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이중항체는 질병을 유발하는 하나의 원인에만 작용하지 않고, 두 개의 인자에 작용하기 때문에 단일항체보다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싱크] 이승규 /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
“암치료에 있어서는 암세포 자체와 면역세포에 동시작용을 할 수 있어 병용투여 치료효율성 증감은 물론, 새로운 작용 기전을 구현할 수 있어 암 외에도 다른 질병에 적용 가능성도 있어 시장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글로벌데이터에 따르면 이중항체 시장은 2021년 약 5조원(40억달러)에서 연평균 32%씩 성장해 2027년 약 24조원(190억달러)에 달합니다.
종근당은 폐암 표적항암제 부작용을 해결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는 이중항체 ‘CKD-702’의 치료제를 개발 중입니다.
셀트리온은 미국 바이오 기업 ‘에이비프로’와 악성 유방암 이중항체 치료제 후보물질 ‘ABP102’에 대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이중항체 개발을 돕는 플랫폼 ‘S-DUAL(에스듀얼)’을 출시했습니다. 이 플랫폼을 통해 사람 몸속의 항체와 유사한 형태의 이중항체를 개발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이중항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제약바이오업계의 신약개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디앤디, 1주당 200원 중간배당…총 37억 규모
- 롯데칠성음료, 강릉 경포해수욕장서 ‘처음처럼’ 팝업 스토어 운영
- AI 기반 XR 콘텐츠 스타트업 '이매지니어스', 프리A 투자 유치 본격화
- 토리든, 캐릭터 가나디와 컬래버…올리브영 홍대타운 오픈
- 트리즈, 유튜브 쇼핑 크리에이터 위한 커머스 지원 체계 구축
- 스마일게이트, 업서드 벤처스와 AAA 신작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체결
- 엘유에이, 생활용품 브랜드 ‘온살림’ 론칭
- 대한항공, 中 온라인 여행사 ‘씨트립’과 MOU 체결
- 도이치 모터스, 보험청구 시스템 개발 업무협약 체결…통합 청구 시스템 구축
- 한국타이어, 테슬라 전기 SUV ‘모델 Y 주니퍼’에 신차용 타이어 공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