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글로벌 혁신 특구' 성공 조성 위한 현장간담회 개최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추진 방안 논의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부산시가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의 성공적인 조성을 위해 지역 중소벤처기업 등 해양 모빌리티 기업들의 목소리를 직접 듣는 자리를 마련했다.
부산시는 14일 오후 한국해양대에서 중소벤처기업부와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의 성공 조성을 위한 현장간담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해 말 시는 탈탄소 규제에 대응하는 수소와 암모니아 추진 친환경 선박 기술개발과 자율운항 선박, 디지털 해양교통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글로벌 혁신 특구로 선정됐다.
중기부는 지난해 비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제외)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글로벌 혁신 특구' 지정 공모를 진행했고, 이를 통해 부산 등 4곳을 글로벌 혁신 특구로 선정했다.
글로벌 혁신 특구는 관련 법령의 금지·제한을 제외한 모든 행위를 허용하는 네거티브 방식의 규제 특례 등 새로운 규제혁신·지원 체계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시는 특구 선정에 따라 차세대 해양모빌리티 산업 육성을 위해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 시행 ▲국경과 공간을 초월하는 실증·인증 지원 ▲글로벌 진출 및 스케일업 패키지 지원 ▲기반구축·실증·인증·사업화 원스톱(One-Stop) 지원체계 구축 등을 추진한다.
간담회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오영주 중기부 장관, 류동근 한국해양대 총장을 비롯해 한국선급,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등 유관기관장, 해양 모빌리티 기업 대표 등 10여명이 참석한다.
참석기업은 ▲HD한국조선해양 ▲에코프로HN ▲파나시아 ▲제이엠피네트웍스 ▲㈜오리엔탈정공 ▲㈜MS가스 ▲MS이엔지 총 7곳으로,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의 성공 추진을 위한 협력방안을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논의한다.
참석기업들은 간담회에서 선박에 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기술개발과 국내 실증, 인증 과정에서 규제 등으로 인해 기업이 직면하는 현장의 애로·건의사항을 시와 중기부에 전달할 예정이다.
시와 중기부는 이날 제시된 애로·건의사항 중 즉시 반영 가능한 과제는 특구 계획과 제도 운영에 반영하고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한 과제는 관계부처 등과 협의를 통해 속도감 있게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오영주 장관은 "글로벌 혁신 특구 제도의 안착을 위해 전면적 네거티브 규제 적용과 신속 임시허가 제도 도입, 정부와 지자체, 민간 거버넌스 운영을 통한 리스크 및 성과관리, 연대와 협력에 기반한 국제협력 해외 실증 및 공동 연구개발(R&D) 지원 등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박형준 시장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기업 현장의 의견을 듣고 부산 글로벌 혁신 특구에 적극 반영해 기업들의 직접적인 투자를 이끌어내 차세대 해양 모빌리티 분야에서 세계시장 선도 도시로 성장시킬 것"이라고 말했다./kjo57100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시흥시, GTX-C 오이도역 연장 ‘지체 속 한 걸음’
- 지리산국립공원, 11월 15일부터 일부 탐방로 폐쇄
- 이서영 의원, 분당 송현초...'노후 냉·난방 재정비 예산 확보'
- 경기경제청, "평택 포승BIX 700억 투자 확정"
- 경기도·경과원, 판교TV 에...‘인베스트 코리아 서밋’ 초정
- 남양주시, 덕소삼패IC~덕소지구 연결도로 개통
- 경기도, 연구거버넌스 개편 착수…“R&D 범위 확대 시급”
- 경기도교육청 “무결점 수능 총력”…전국 최다 수험생 대비
- 하남시, ‘서울 잇는 7개 광역도로망’ 확충… 원도심·교산 연결 박차
- 경상원, "유망성장기업 체계적 지원"...경제 활력↑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韓기업 주도로 마스가 현금·보증 투자…"한국이 주도권 가져"
- 2車관세 15%로 인하…현대차그룹, 연간 2조 원대 이익 개선 기대
- 3시흥시, GTX-C 오이도역 연장 ‘지체 속 한 걸음’
- 4중소기업계 "한미 관세협상 타결 환영"
- 5지리산국립공원, 11월 15일부터 일부 탐방로 폐쇄
- 6한미, 관세협상 세부합의…현금투자 2000억불, 年상한 200억불
- 7마스가, 韓기업 주도로 추진…보증도 포함키로
- 8대통령실 "연간 200억불, 우리 외환시장 감내 가능 범위"
- 9상호관세는 15% 유지…자동차 관세도 15%
- 10대미투자 원금회수 장치마련…'상업적 합리성' MOU에 명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