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이어 애플도 ‘정밀 지도’ 요청…새 정부 ‘고심’
경제·산업
입력 2025-06-17 18:07:53
수정 2025-06-17 18:07:53
이수빈 기자
0개

구글에 이어 애플도 우리 정부에 고정밀 지도 데이터의 국외 반출을 요구했습니다. 고정밀 지도 데이터는 국가 안보는 물론 국내 산업 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그간 반출이 허용되지 않았는데요. 점점 거세지는 미국 정부의 통상 압박이 관건이 될 전망입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구글에 이어 애플도 우리 정부에 고정밀지도 데이터 반출을 요청했습니다.
미국 정부의 통상 압박이 거센 가운데 지도 반출은 국가 안보와 국내 기업 경쟁력과도 직결된 문제인 만큼 새 정부의 고심이 깊어지는 모습입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애플은 어제(16일) 국토지리정보원에 5000대 1 축적의 국내 정밀 지도 데이터를 반출할 수 있게 해달라는 신청서를 제출했습니다.
5000대 1 축적 지도는 50m 거리를 지도상 1㎝ 수준으로 표현돼 있습니다.
애플은 지난 2023년에도 고정밀 지도 데이터 반출을 요청했는데 당시 정부는 국가안보를 이유로 반려한 바 있습니다.
애플이 이 같은 데이터에 관심을 보이는 건 애플 기기의 위치 관련 기능과 자사 내비게이션 기능, 애플페이 국내 서비스 등을 고도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석됩니다.
애플에 앞서 지난 3월 구글도 지도 데이터 반출을 요청했지만 심사 논의는 지지부진한 상황.
지도 데이터 반출 심사는 국토교통부 장관이 유관 부처와 함께 협의체를 열고 관련 사항을 논의해야 하는데 새 정부 들어 장관들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상태라 논의가 지연되고 있습니다.
업계에선 새 정부가 지도 데이터 반출을 쉽게 허용하지 않을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그간 여당이 지도 데이터 반출에 대해 안보, 디지털 주권과 직결되는 사안이라며 신중한 자세를 보여왔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빅테크들이 지도 데이터를 활용한 국내 서비스를 본격 확대하면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는 점도 정부가 데이터를 선뜻 내줄 수 없는 이유입니다.
다만 미국 정부의 통상 압박이 변수입니다.
트럼프 정부가 한국의 고정밀 지도 반출 제한을 무역장벽으로 지적하는 등 통상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과의 통상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황에서 일각에선 새 정부가 ‘울며 겨자먹기’로 빅테크들의 요청을 받아들일 수 밖에 없을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정부는 오는 8월 중 구글에, 9월 중 애플에 심사 여부를 결정해 답을 줄 예정입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中에 추월당한 韓 제약바이오…정부 R&D 지원 시급
- 도시정비 수주 경쟁 치열…건설사, 실적 개선 돌파구
- 출범·매각·통합 잇따라…LCC 시장, 대격변 본격화
- 상반된 2분기 실적 전망에…희비 엇갈린 '네카오'
- K조선, 선박 발주량 감소…'마스가' 로 반등 노리나
- 여 "노란봉투법, 8월 임시국회서"…벼랑 끝 내몰린 기업들
- 명품감정교육, 부업 넘어 ‘1인 창업’으로 이어진다
- 법원 “영풍 석포제련소 무분별한 폐기물 매립 지하수·하천 오염 가능성”
- 중기중앙회 "日 정부, '중소기업 포럼' 전폭 지원"
- 중기중앙회, 기업투자 분야 총괄 전문가 채용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배낙호 김천시장, 송언석 국회의원과 ‘쉼표 없는 세일즈 행정’ 눈길
- 2경주시, ‘청렴 도시 경주’ 실현 한수원과 함께 나선다
- 3포항시, ‘제주해녀 특별전’ 등 여름맞이 다채로운 문화행사 개최
- 4이강덕 시장, 산사태 취약지역 긴급 현장 점검 나서
- 5경주시, 여름철 해수욕장 안전관리 총력
- 6포항시, 호미반도권 1조원 규모 대형 관광개발 본격화
- 7한국수력원자력, 경주시 반부패⸱청렴 업무협약 체결
- 8대구 달성군, 제2국가산업단지 예타 통과
- 9대구시, 제2국가산업단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10남원시, 한달살기 게스트 하우스 3차 입주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