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6 전주올림픽 준비 '제로'…정연욱 의원 "전북도는 타당성조사 미루고 체육회는 방관만"
전국
입력 2025-10-27 17:06:28
수정 2025-10-27 17:06:28
김정옥 기자
0개
"체육회는 계획 일정, 자문 결과, 수정 방향 국민에 공개해야"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2036년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가 추진되고 있지만 실제 준비는 제자리라는 지적이 국회에서 나왔다. 전북도는 타당성조사를 미루고 협의 자료도 제출하지 않았고 대한체육회는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는 비판이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연욱 국민의힘 국회의원(부산 수영구)은 27일 국정감사에서 "전북도는 사전타당성조사를 9월에서 12월로 연기했지만 왜 미뤘는지, 어떤 수정이 이뤄지고 있는지 국민에게 설명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에 따르면 의원실은 전북도에 유치계획 변경 과정에서 대한체육회·문화체육관광부·국제올림픽위원회(IOC) 등과 논의한 자료를 요청했지만, 전북도는 “없음”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대한체육회 내부 문건에는 올해 3월부터 9월까지 문체부·체육회·전북도·IOC가 5차례 회의를 진행한 기록이 확인됐다.
회의에서 IOC는 "경기장과 선수촌의 지나친 분산은 어렵다", 체육회는 "실현 가능한 계획으로 수정해야 한다", 문체부는 "IOC와 사전 협의해 타당성조사 신뢰도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협의가 있었음에도 공식 답변에 '없다'고 한 것은 국민을 기만한 것과 다르지 않다"며 "체육회는 이를 알면서도 공개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전북도가 만든 유치계획안도 도마 위에 올랐다. 총사업비 5조3312억원, 국비 11%, 경기장 51곳 배치 등 수치를 제시했지만, IOC는 아직 개최지 요건에 대한 공식 문건을 제공하지 않은 상태다.
개최지 결정 시점도 IOC는 정해놓지 않았는데 전북도는 "대회 7~9년 전 선정"이라고 적시했다.
IOC가 전북 측에 '2036년이라는 특정 연도 표기는 자제해 달라'고 전달한 사실도 드러났다. 그럼에도 전북도는 '2036 전주올림픽'이라는 명칭을 계속 사용하며 홍보하고 있다.
정연욱 의원은 "올림픽은 선언이 아니라 준비에서 시작된다"며 "지금처럼 전북도는 숨기고, 체육회는 뒷짐만 지고 있으면 유치 추진은 구호만 남게 된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체육회는 조율기관으로서 계획 일정, 자문 결과, 수정 방향을 국민에게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jo57100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용인시, '유럽형 코지가든' 관광테마골목사업 선정
- 김동연, “경기북부 대개조, 킨텍스 제3전시장서 시작된다”
- 하남, K-팝으로 물든 사흘…도심 곳곳 생중계
- 공공의대 설립 논의 본격화…국회 복지위원들 남원 찾았다
- 대경대 K-푸드전공 45명, 국제요리경연대회 출전. . .라이브 단체전·파스타 라이브전 대상 동시 수상
- 수성구 고산2동, 고산의 과거·현재·미래 탐방하는 ‘2025년 제4회 고산사랑 마을투어’ 진행
- 김위상 의원 “5년간 18억 쓰고 취업률 11% 노동부 채용박람회, 올해 추경으로 20억 더 편성했다”
- 대구지방환경청, 강정고령 지점 조류경보 해제
- 경산교육지원청 경산Wee센터, 찾아가는 1:1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문 실시
- 대구가톨릭대병원, 일본 성마리아병원 병원장 및 관계자 방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용인시, '유럽형 코지가든' 관광테마골목사업 선정
- 2김동연, “경기북부 대개조, 킨텍스 제3전시장서 시작된다”
- 3하남, K-팝으로 물든 사흘…도심 곳곳 생중계
- 4공공의대 설립 논의 본격화…국회 복지위원들 남원 찾았다
- 5대경대 K-푸드전공 45명, 국제요리경연대회 출전. . .라이브 단체전·파스타 라이브전 대상 동시 수상
- 6수성구 고산2동, 고산의 과거·현재·미래 탐방하는 ‘2025년 제4회 고산사랑 마을투어’ 진행
- 7김위상 의원 “5년간 18억 쓰고 취업률 11% 노동부 채용박람회, 올해 추경으로 20억 더 편성했다”
- 8대구지방환경청, 강정고령 지점 조류경보 해제
- 9경산교육지원청 경산Wee센터, 찾아가는 1:1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자문 실시
- 10대구가톨릭대병원, 일본 성마리아병원 병원장 및 관계자 방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