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 인하에 은행 예·적금 이자, 다시 1%대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p) 인하함에 따라 시중은행들도 후속 조치에 들어갔다. 
예·적금 등 수신금리 상품에서 2%대는 사라지고 기본이 1%대인 시대가 다시 시작될 전망이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시중은행들은 이르면 이번 주부터 예·적금 금리를 하향 조정할 예정이다. 인하 폭은 0.1∼0.3%p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 전에도 시중은행에서는 이미 2%대 이자를 주는 예금상품은 찾기 어려웠다. 이번에 추가 인하가 이뤄지면 본격적으로 연 1%대 금리 시대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
현재 신한·KB국민·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의 대표 예금 상품의 1년제 기본금리는 최고 1.9%다.
신한은행의 ‘쏠편한 정기예금’이 기본금리 1.6%에 우대금리 0.11%p를 준다. KB국민은행의 ‘국민수퍼정기예금’은 기본금리 1.65%에 우대 0.3%p, ‘KB Smart 폰예금’은 기본 1.75%에 0.6%p의 우대금리를 준다.
우리은행의 ‘위비 슈퍼 주거래 정기예금’은 기본 1.90%에 최고 2.40%의 이자를, KEB하나은행은 ‘N플러스 정기예금’은 기본 1.80%에 최대 2.10%의 이자를 준다.
적금 상품은 1년제 기본금리가 최대 2.2%로 이자가 조금 후한 편이지만 크게 차이 나지는 않는다.
신한은행 ‘신한스마트 적금’은 기본금리 2.2%를 주고 별도 우대금리는 없다. 국민은행 ‘KB맑은하늘적금’은 기본 1.9%에 0.8%p 우대 금리를, ‘KB 1코노미 스마트적금’은 기본 2.15%에 우대 0.6%p의 금리를 제공한다.
우리은행 ‘위비 슈퍼 주거래 정기적금2’는 기본 1.40%의 금리에 최고 2.70%까지 이자를 준다. 하나은행 ‘급여하나월복리적금’은 기본 1.70%에 최고 3.0%까지 금리를 받을 수 있다.
시장에서는 이르면 내달께 금리 인하를 점쳤던 만큼, 각 은행은 ‘깜짝’ 금리인하에 부랴부랴 후속 조치를 마련하느라 분주하다.
개별 상품에 적용될 금리를 계산하는 시뮬레이션 분석을 하면서 신상품 개발과 수수료 조정 등의 작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런 과정을 종합적으로 거쳐야 하기에 일러야 이번 주 중후반에야 금리 조정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고객 입장에선 어차피 예·적금에 들 계획이 있었다면 서두르는 게 좋다. 금리 조정이 이뤄지기 전에 가입하는 게 0.01%p의 이자라도 더 챙길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은행별로 특판상품을 내놓는 등 한시적인 마케팅에 나설 가능성이 있으니 시장 상황을 주시하는 게 좋다./고현정기자go8382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잦은 입원·응급실행…중증 천식, 약값 부담에 치료 장벽
 - 2지주계 보험사 3분기 희비…본업은 대체로 부진
 - 3SPC 3세 경영 가속…허진수 부회장·허희수 사장 승진
 - 4개보위 “SKT, 해킹 피해자에 30만 원씩 배상”
 - 5KB국민은행, 4년만에 리딩뱅크 복귀? '규제 변수' 관건
 - 6증시 상승에 시총 판도 격변…'10조 공룡' 속출
 - 7“요양원 아닌 호텔급 노후”…시니어타운 공급 ‘속속’
 - 8보안 투자 인색 ‘네이버·카카오’…“인력·예산 글로벌 절반”
 - 9소비자·배송기사 원하는데…‘새벽배송’ 금지 논란
 - 10트럼프 “엔비디아 최신 GPU 못준다”…韓 수급 차질?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