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3구 법원경매 아파트 낙찰가율 ‘고공행진’

[서울경제TV=이아라기자]
[앵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공론화한 후, 이른바 강남 3구로 불이는 강남·서초·송파구에서 법원경매로 나온 아파트들이 감정가보다 비싸게 낙찰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보도에 이아라기자입니다.
[기자]
강남권 3구의 법원경매로 나온 아파트 낙찰가율이 7월에 101.0%로 올해 들어 처음으로 100%를 넘겼습니다.
시기상으로 보면, 6월 하순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이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공론화한 직후입니다.
정부가 시행 방침을 발표한 8월에는 강남권 3구의 법원경매 낙찰가율이 104.4%로 더 높아졌고, 9월에는 106.3%로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104.6%로 소폭 하락하긴 했지만, 정부가 분양가상한제 도입을 언급한 직후부터 4개월 연속 강남 지역에서 나온 법원경매 물건의 고가 낙찰이 속출한 겁니다.
[인터뷰] 장근석 / 지지옥션 데이터센터 팀장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가 확대 적용되면) 강남권 재개발·재건축 사업이 중단되거나 지연되고, 그에 따른 공급 감소로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달에는 강남권 3구 아파트 법원경매에 참여한 평균 응찰자 수는 12명으로, 올 들어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시세보다 저렴한 감정가로 경매 시장에 나온 물건에 응찰자가 몰리면서 낙찰가율도 오르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최근 강남권 아파트 법원 경매 특징은 1회 입찰 때 응찰자가 없어 유찰된 뒤 최저매각가가 20% 떨어진 2회 입찰에 응찰자가 몰리지만,
결국 1회 최저매각가보다 높은 가격에 낙찰되는 패턴이 반복된다는 점입니다.
지난달 22일 2회차 입찰에서 낙찰된 서울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17차 아파트의 전용면적 80.4㎡ 경매 입찰에는 22명의 응찰자가 몰렸습니다.
낙찰가는 1회 최저매각가(18억 4,000만 원)보다 3억 2,888만 원 오른 21억 6,888만 원(낙찰가율 118%)이었습니다.
올해 들어 1회 입찰에서 응찰자가 없어 유찰된 뒤, 1회 최저 매각가를 넘겨 낙찰된 강남권 3구의 아파트 사례는 총 14건에 달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마약 관리 안하냐" 트럼프 행정부, 콜롬비아 대통령 일가 제재
- 美 셧다운에 끊긴 군인 급여…민간 기부금 받아 분배
- 트럼프, 中 견제할 '황금 함대' 개발 추진
- 교황 레오 14세, 미·캐나다 갈등에 이례적 우려 표명
- 트럼프, '마약 차단' 명분으로 베네수엘라 등 압박 강화
-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영국 싱글차트 상위권 석권
- 한미약품, 美서 첫 표적단백질분해 물질 공개
- 트럼프 행정부 “한미 무역합의 조속 체결 희망”… 북미회담은 미정
- 트럼프, 아시아 순방 중 김정은과 회담 계획 없어
- 美전문가 "30년간 이민개혁 못한 美, 韓 전용비자 어려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김철우 보성군수, '제1회 열선루 이순신 축제' 통해 군민 화합과 희망의 메시지 전파
- 2일본은행, 내주 기준금리 동결 전망…정권과의 조율 필요성 제기
- 3여수 수산업, 다시 닻 올리다…대형트롤 ‘307해운호’ 진수식 개최
- 4황경아 남구의원, '내일은 남구' 출판기념회 성황리 마무리
- 5박희승 의원 "연봉 5억 제시해도 의사 못 구해, 공공의대 설립 시급"
- 6순창군, 기본사회 순창본부 출범 "2년의 기적, 함께 만든다"
- 7"마약 관리 안하냐" 트럼프 행정부, 콜롬비아 대통령 일가 제재
- 8美 셧다운에 끊긴 군인 급여…민간 기부금 받아 분배
- 9트럼프, 中 견제할 '황금 함대' 개발 추진
- 10교황 레오 14세, 미·캐나다 갈등에 이례적 우려 표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