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상가↑, 임대료↓…경기부진·소비위축 영향

최근 경기 부진 등의 영향으로 빈 상가는 늘고 상가의 임대료도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2분기 상업용 부동산 임대동향 결과에 따르면 전국의 상가 공실률은 중대형이 평균 11.5%, 소규모가 5.5%로 전 분기 대비 각각 0.1%포인트, 0.3%포인트 증가했다. 3층 이상이거나 연면적이 330㎡를 초과하는 중대형 상가의 경우 서울이 7.4%, 경기도가 8.6%로 전국 평균보다 낮았다. 반면 경북은 18.3%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고 세종(17.3%), 전북(17.1%), 울산(16.9%), 충북·대구(14.9%), 전남(14.1%) 등 주로 지방의 상가 공실률이 평균 이상으로 높았다. 경북의 경우 문경·안동 상권에서 인구 감소와 상권 매출액 감소로 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공실이 증가했다. 이에 비해 서울은 시청 상권의 신규 프랜차이즈 업체 입점과 건대 상권의 매출 증가 등으로 빈 상가가 전 분기 대비 0.1%포인트 줄었다.
소규모 상가 공실률은 제주(2.3%)와 서울(3.2%)이 상대적으로 낮았으나 전북(11.1%)·세종(10.2%)·경남(8.3%) 등 지방은 전국 평균보다 높았다. 전북의 소규모 상가는 김제·익산역 상권에서 상가 노후화, 인구 감소 등의 영향으로 전 분기 대비 1.5%포인트가량 공실이 늘었다. 임대료는 집합상가의 임대료가 ㎡당 2만8,300원으로 가장 높았고, 중대형 상가가 2만8,000원, 소규모 상가가 2만400원으로 조사됐다. 이는 2분기 대비 각각 0.25%, 0.06%, 0.27% 하락한 수치다. 한국감정원 관계자는 “비수도권을 중심으로 제조업 등 일부 지역산업 경기가 둔화하고 소비심리가 위축되면서 공실이 늘고 임대료도 하락했다”고 말했다.
3개월간 부동산 보유에 따른 투자성과를 나타내는 투자수익률은 중대형 상가가 1.53%, 소규모 상가 1.40%, 집합상가는 1.55%로 나타났다. 임대료는 하락했지만 자산가치가 전분기보다 높아지면서 집합상가를 제외한 나머지는 전분기보다 수익률이 소폭 상승했다. 6층 이상의 오피스 빌딩은 최근 신규 공급이 줄면서 공실률이 12.0%로 전 분기 대비 0.4%포인트 감소했다. 그러나 임대료는 지방을 중심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전 분기 대비 0.04% 하락했다. 서울의 오피스는 을지로·여의도 일대 임차 수요가 채워지며 전 분기 대비 0.8%포인트 감소한 10.2%를 기록했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자본시장법 위반'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 1심 벌금형
- 소상공인연합회 "헌재 결정 존중…경제 살리기 매진하길"
- 한국AX마케팅협회,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참여
- 신세계그룹 브랜드 총출동 ‘랜더스 쇼핑페스타’ 개막
- KFC 코리아, 국내 타코벨 개발·운영권 확보
- 재계 "헌재 결정 존중…경제 회복에 힘 모아야"
- 법원, 명품 플랫폼 '발란' 회생절차 개시 결정
- ’배민’ 우아한형제들, 지난해 영업이익 6408억원…전년比 8.4%↓
- 중소기업계, 헌재 결정에 입장 발표 "새 성장 계기 되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여수시민시국대회, '탄핵 인용' 나오자 '환호성'
- 2해남군, 군민의 날 기념 KBS 전국 노래자랑 29일 개최
- 3보성군·보성아산병원, 여성농업인 특수건강검진 지원 업무협약
- 4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5원주시청공무원노동조합 등 4개 노조, 안동시에 산불 피해지원 성금 800만원 기탁
- 6목포시,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공 개최 결의대회 성료
- 7원주시, 관설하이패스IC-동남부권 잇는 도시계획도로 결정·고시
- 8완도군, 식목일 맞아 완도호랑가시나무 1500주 식재
- 9장흥군, 전남도 ‘전남형 만원주택’ 공모 선정
- 10진도군, 고향사랑기부제 기부 인증 이벤트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