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상품수출 -8.6%…무역분쟁 속 2분기 G20 중 감소폭 2위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반도체 불황이 겹치면서 주요국 가운데 한국의 상품수출 감소세가 컸던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 규모도 지난해 세계 5위에서 6위로 밀려났다.
23일 세계무역기구(WTO)의 월간 상품수출 통계에 따르면 한국의 2분기 수출액은 1,385억9,000만달러로 1년 전보다 8.6% 줄었다. 감소세는 주요 20개국(G20) 소속 국가 가운데 두 번째로 컸다. 국가별로 보면 무역분쟁을 치른 미국과 중국보다 이들 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나라의 수출이 크게 줄어들었다.
대(對)중 경제 의존도가 높은 인도네시아의 2분기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9.1% 줄어들며 20개국 중에 감소율이 제일 높았다. 한국(-8.6%)에 이어 국제유가 하락과 크림사태에 따른 서방 제재를 겪은 러시아(-8.3%)의 감소세가 컸다. 수출규모가 큰 독일(-7.1%), 일본(-6.6%)도 무역분쟁 여파를 받았다. 핀란드(-5.2%), 영국(-4.6%), 남아프리카공화국(-4.3%)도 감소세가 컸다. 반대로 미국 2분기 수출은 3.1%, 중국은 1.0% 줄어드는 데 그치면서 여타 국가보다 감소율이 낮았다. 중국의 성장세가 둔화하자 중국에 물건을 수출하는 주변국들이 더 큰 피해를 본 결과로 풀이된다.
G20 가운데 수출이 늘어난 국가는 캐나다(0.2%), 터키(1.2%), 멕시코(4.7%), 아르헨티나(6.8%), 호주(10.5%) 등 4곳뿐이다. 수출액 규모로 보면 한국은 작년 2분기 세계 5위에서 올해 6위로 내려왔다. 프랑스는 지난해 수출 규모가 한국보다 적었지만, 올해 2분기 수출이 보합(0.0%)을 나타내면서 8.6% 감소한 한국을 밀어내고 6위에서 5위로 올랐다.
G20 국가 가운데 수출액이 큰 세계 10대 수출 대국으로 좁혀 보면, 한국 수출 감소세가 제일 컸다. 전망도 어둡다. 글로벌 교역 관련 선행지표인 WTO 세계무역 전망지수는 지난 8월 95.7로 낮아지는 등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저로 떨어졌다. 9월에는 98.4로 반등했으나 여전히 장기추세 기준치(100)를 밑돌았다. /이아라기자 ar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공항, 2025년 협력사 ‘안전조업 상생협력 포럼’ 개최
- GC지놈 "다중암 조기진단 ‘아이캔서치’ 췌장암 예측력 입증"
- 네이버클라우드, 초고령 사회 해결 위한 AI 기술 공개
- 쉐보레, 2026년형 ‘트랙스 크로스오버’ 공식 출시
- 에어프레미아, 아마존 에어카고와 인터라인 계약 체결
- 경동나비엔, ‘2025 프리미엄브랜드지수’ 2관왕
- "내몽고 이색 여행지 만나보세요" 이스타항공, 부산-오르도스 취항
- SK매직, 'SK인텔릭스'로 사명 바꾼다…"AI 웰니스 플랫폼 도약"
- CJ제일제당, ‘햇반 저단백밥’으로 17년째 희귀질환 환우 후원
- KT, ‘갤럭시Z 폴더블7 AI 체험존’…"셀피로 캐릭터 만든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공항, 2025년 협력사 ‘안전조업 상생협력 포럼’ 개최
- 2GC지놈 "다중암 조기진단 ‘아이캔서치’ 췌장암 예측력 입증"
- 3네이버클라우드, 초고령 사회 해결 위한 AI 기술 공개
- 4쉐보레, 2026년형 ‘트랙스 크로스오버’ 공식 출시
- 5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6에어프레미아, 아마존 에어카고와 인터라인 계약 체결
- 7경동나비엔, ‘2025 프리미엄브랜드지수’ 2관왕
- 8경북교육청정보센터, 세대공감 뮤지컬 갈라 콘서트 성료
- 9"내몽고 이색 여행지 만나보세요" 이스타항공, 부산-오르도스 취항
- 10대구대 대학일자리플러스센터, 졸업생 대상 실전형 취업 캠프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