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즈라이프] 보이지 않는 위험 ‘집먼지 진드기’ 주의해야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오프닝]
봄철이면 어김없이 찾아오는 불청객, 바로 황사와 미세먼지입니다. 비염이나 호흡기 질환이 있는 분들에게 치명적이기 때문에 걱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데요. 황사, 미세먼지보다 호흡기 질환에 더 안좋은 것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집먼지 진드기’인데요. 오늘 센즈라이프는 ‘집먼지 진드기’의 위험성과 차단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기자]
요즘 황사와 미세먼지로 호흡기 질환이나 알레르기성 비염이 심한 사람들은 걱정이 크실텐데요. 최근 코로나19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건강에 대한 염려가 더 커져 공기청정기를 찾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실제로 공기청정기의 수요는 늘어나고 있는데요. 이마트의 경우 올해 1월과 2월 공기청정기 매출이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약 42% 증가 했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미세먼지나 황사보다 호흡기 질환과 알레르기에 더 치명적인 것이 있다고 합니다. 바로 ‘집먼지 진드기’입니다.
눈에 잘 보이지도 않고 심각성을 모르는 사람이 많아 집먼지 진드기를 가볍게 생각하기 쉬운데요.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비염과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고 합니다.
특히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침구류에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인터뷰] 임영내 / 남양주 한양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사
“1년 내내 봤을 때 집안에서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들이 대체적으로 제일 많은 게 집먼지나 집먼지 진드기 이런 것들인데, 그런 것들이 깨끗하게 유지되지 않으면 알레르기가 많이 유발 되죠.”
겉으로 보기에 깨끗해 보이는 이불도 현미경을 통해 그 속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섬유 속 사이사이로 집먼지 진드기가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일반 면 소재는 섬유간 공간이 넓어 집먼지 진드기가 살기 좋은 환경을 제공합니다. 여기에 집먼지 진드기는 번식력까지 왕성합니다. 진드기는 사람에게서 나오는 피부 각질이나 비듬 몇 조각으로 수천마리까지 살 수 있는데요. 수천마리 진드기가 쏟아내는 배설물이 천식·비염·아토피·결막염 등을 일으킵니다.
전문가는 각종 질환을 유발하는 집먼지진드기를 피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요. 일반 면 소재 침구보다 진드기가 서식하기 어려운 기능성 소재의 침구 사용을 추천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임영내 / 남양주 한양병원 소아청소년과 박사
“요즘에는 알레르기를 예방하기 위한 기능성 침구류들이 많이 나와 있습니다. 그런 기능성 침구류들을 사용하면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인 집먼지나 집먼지 진드기를 차단하고 회피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기능성 소재 원단은 섬유 사이 조직 짜임새가 조밀해서 집먼지 진드기가 서식하거나 먹이가 되는 각질과 비듬이 쌓이기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에 일반 면 소재에 비해 상대적으로 집먼지 진드기 피해로부터 더 안전합니다.
이런 이유로 기능성 침구를 찾는 사람들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인데요. 국내 기능성 침구 시장 규모는 6,000억원 정도로 2011년 이후 매년 10%이상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인터뷰] 최선미 / 세사리빙 매니저
"봄철 환절기가 되면서 비염이나 아토피가 있는 분들이 웰로쉬 원단을 사용한 기능성 침구를 많이 찾고 계십니다."
항상 뽀송뽀송하고 깨끗한 이불을 사용하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하지만 침구류 세탁을 자주 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기능성 침구류로 집먼지 진드기 걱정을 줄여보는건 어떨까요. 서울경제TV 서청석입니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덕분에 감사합니다" 남원시, 시민 칭찬 친절공무원 직접 격려
- 2남원시-성일유엔아이, 지속가능 봉사문화 확산 맞손
- 3월 1만 원 임대료 '피움하우스'…남원시 청년 주거 새 모델 개소
- 4대한건축사협회, 내달 '인천아시아건축사대회' 개최
- 5남원시, 드론·AI 기반 '농뷰' 구축…보조금 누수 막고 행정 효율↑
- 6고창군, 올해 연말까지 고창사랑상품권 할인율 15%로 확대
- 7고창군, 2025년도 제2차 추가경정예산 8973억 원 편성
- 8고창군의회, 전북도민체전 앞둔 선수단 격려
- 9‘2025 활력고창 여성아카데미’ 개강…지역 여성 리더 양성 본격화
- 10고창군, '2025 세계유산축전 고창 고인돌·갯벌' 추진상황 설명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