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5 탄소중립도시…광주시 '친환경車 전환' 속도
수송분야 온실가스 배출원 29% 차지…친환경 개선 절실
올해 650억 투입 전기차 2820대 보급 등 14개 사업 추진

[광주=신홍관 기자] 광주광역시가 2045년 탄소중립도시를 목표로 친환경자동차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광주시는 미세먼지 감축과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올해 총사업비 650억원을 투입해 전기자동차‧수소자동차 보급, 운행경유차 배출가스 저감사업 등 14개 사업을 시행한다.
광주시는 2018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까지 45% 감축하고, 2045년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온실가스 배출원의 29%를 차지하는 ‘수송’ 분야의 온실가스 감축이 절실, 친환경차 전환에 앞장서고 있다.
광주시는 먼저 전기자동차 확대 보급을 통한 대기질을 개선하고자 전기자동차 2820대의 구매를 지원한다. 대상은 승용차 1775대, 화물차 807대, 승합차 25대, 이륜차 213대이다.
특히 취약한 전기차 충전 기반의 확충에 전력한다. 편의점, 식당가 등에 급속충전기 15기를 설치하고, 환경부·한국전력과 협력해 공영주차장, 노상주차장 등에 70여기의 충전시설도 확충할 계획이다.
광주시는 또 올해 수소자동차 64대(승용 50, 버스 10, 수소청소차 4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수소승용차 1대당 3250만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이와 함께 노후 경유차 조기 폐차 사업도 지속한다. 배출가스 4・5등급 노후 경유차를 대상으로 조기 폐차(3727대)를 지원하고, 조기 폐차가 어려운 경유차는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226대)을 지원한다.
경유차의 저공해 전환과 어린이 건강보호를 위해 22대의 LPG통학차 구매를 지원한다. 그동안 지원했던 1t LPG화물차는 전기화물차 보급 확산 유도를 위해 2023년 이월분까지만 지원하고 지원을 종료한다.
구체적 일정은 환경부 보조금 업무처리지침이 시달되는 2월 하순께 광주시 누리집에 공고할 예정이다.
손인규 기후대기정책과장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미래 친환경자동차로의 전환을 통해 대기오염 저감 등 기후위기 대응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지역 친환경차 누적 보급대수는 지난해 말 기준 1만4490대(전기차 1만3151대, 수소차 1339대)이다. 이는 지난 2019년 말 3183대(전기차 2690대, 수소차 493대)에 불과했지만, 지속적인 보조금 지원 정책으로 4년 사이에 350% 증가한 것이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강진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비촉진 캠페인
- 칠곡경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서 ‘우수연구자상(1등)’ 수상
- 경북테크노파크, '한국-과테말라 섬유산업 네트워킹 행사' 개최. . .기술교류 및 협력의 장 마련
- 전남도, 청년친화헌정대상 광역자치단체 종합대상
- 영천시, 생활개선회 읍면동 과제교육 성료
- 포항시, 여성 구직자 위한 ‘2025 여성친화 취업박람회’ 개최
- 포항시, ‘세계지식포럼 포항’ 내달 12일 개최
- 전남농업기술원, 국제농업박람회서 전남커피 산업화 조명
- 포항시, 해도동에 포스코 신축 기숙사 유치…도심 활력 회복 나선다
- 경주시, ‘2025 세계유산축전’ 공식 홈페이지 오픈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동원홈푸드, 조미식품 생산공장에 할랄 인증 획득
- 2강진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소비촉진 캠페인
- 3칠곡경북대병원 혈액종양내과 이인희 교수, 대한항암요법연구회서 ‘우수연구자상(1등)’ 수상
- 4카카오페이, '민생회복 소비쿠폰' 결제 수단 확대…편의성 대폭 강화
- 5무신사, 한국관광공사와 MOU 체결…“K-패션 글로벌 확산”
- 6제주항공, ‘K-헤리티지’ 래핑 항공기 공개…"한국 전통문화 알린다"
- 7농심, 베트남 호치민 '신라면 분식' 3호점 오픈
- 8커넥트밸류, 근로자 주도 훈련 개시…AI 로봇·HR 맞춤 교육 훈련비 90% 환급
- 9경북테크노파크, '한국-과테말라 섬유산업 네트워킹 행사' 개최. . .기술교류 및 협력의 장 마련
- 10전남도, 청년친화헌정대상 광역자치단체 종합대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