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다 "6월 지방 외식업 매출 '맑음'…저가 커피 인기"

[서울경제TV=김도하 기자] 핀테크 기업 핀다가 AI 상권 분석 플랫폼 '오픈업'을 통해 지난 달 전국 외식업 상권 동향을 담은 ‘전국 외식업 상권 기상도’를 25일 공개했다.
지난 달 국내 외식업 매출 규모는 약 11조 5,843억 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6월(11조 5,842억 원)보다 불과 1억 원(0.001%) 증가한 규모로 사실상 거의 변동이 없는 수준이다. 가정의 달로 내수 소비가 상대적으로 활발했던 전월(11조 9,758억 원)과 비교하면 약 3.27% 감소했다.
전국 17개 시도별로 보면 서울(-3.10%), 부산(-1.74%), 제주(-3.81%)를 제외하고 모두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증가하며 지난 달에 이어 지방 상권의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전국 매출 증가율 1위는 인천(6.31%)이 차지했고, 광주(3.20%), 충남(2.75%), 경북(2.66%), 전북(2.21%) 순으로 매출 증가율 상위권에 포진했다.
전월 대비 매출은 전국에서 강원(1.60%)만 유일하게 증가했다. 때이른 폭염에 경포해수욕장이 6월에 개장하는 등 일찌감치 강원도를 찾는 피서객이 몰린 영향으로 분석된다.
시군구 단위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을 살펴보면 경북 봉화군(23.10%)이 지난 달에 이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북 예천군(16.13%)-대전 중구(16.12%)-경북 영양군(15.94%)-경기 과천시(12.00%) 순으로 높았다.
반면 서울 강남구(-6.77%), 부산 해운대구(-7.53%), 제주 제주시(-2.76%) 등 지난해보다 매출이 감소한 시도 지역의 핵심 상권들은 모두 감소세를 보였다.
핀다는 외식업 세부 업종별 현황도 함께 공개했다. 지난 달 뷔페 업종은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증가율이 21.96%을 기록해 가장 큰 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어 패스트푸드(7.15%)-카페(2.18%)-치킨·닭강정(1.96%)-베이커리(1.07%) 순으로 증가율이 높았고, 전체 외식업 중 가장 큰 비중(43%)을 차지하는 한식(0.72%) 매출도 소폭 증가했다.
특히 지난 달 카페 업종 매출(2.18%)과 결제 건수(3.10%)는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증가했지만, 평균 매출 단가(8,201원)가 지난해보다 0.64% 감소했다. 이는 고물가로 외식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저렴하고 품질까지 만족시킨 저가 커피가 전 세대에 걸쳐 인기를 얻은 영향으로 풀이된다.
황창희 핀다 오픈업 서비스 총괄은 "대부분 업종에서 평균 매출 단가가 증가하는 추세인 가운데 카페 업종의 가성비 열풍이 유독 두드러진다는 것이 데이터로 확인됐다"며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에는 전국적으로 외식업 상권이 더욱 살아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itsdoha.k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BNK부산은행, 모바일 전용 ‘ONE주택담보대출’ 출시
- KB국민은행, 2025년 국가고객만족도 시중은행부문 1위
- 한국투자증권 GWM, 패밀리오피스 초청 연말 컨퍼런스 개최
- 모아데이타, 삼성서울병원 국제심포지엄서 AI 헬스케어 사례 발표
- 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조이웍스앤코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 매출 성장세"
- SKAI인텔리전스, ‘AI 서밋 서울 2025’ 참가
- 키움증권, 대학생 50명에 장학금 1억원 전달
- 하나자산운용, ‘하나파이팅코리아’ 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원텍, 영업이익 전년 대비 87% 증가…“글로벌 경쟁력 확보”
- 2집현전 인베스트 앤 인사이트, 엔젤 투자사로 출범
- 3한국타이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참여
- 4AI 중심도시 해남군, 공직자 역량 강화 'A.C.E 미래 양성교육' 진행
- 5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 6재택 근무 확산에 ‘공간 분리형 주거’ 급부상…화성 ‘더 스테이 새솔’ 관심
- 7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그랩바디’ 기술이전…최대 3.8조원 규모
- 8대한항공, 진에어·에어부산과 日 주요 여행사 대상 ‘부산 팸투어’ 진행
- 9김철우 보성군수 "군민 모두가 건강한 지역 공동체로 성장"
- 10쓰레스홀드 네트워크, tBTC 앱 대규모 업그레이드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