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92.8%,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어려움 느껴

경제·산업 입력 2025-02-19 13:33:51 수정 2025-02-19 13:33:51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의무감축 대상기업 86% "기한 내 목표 달성 불가"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지난해 제조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탄소중립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92.8%의 기업이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에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92.8%는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준에 대해 ‘기한내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답했다. 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는 응답이 50.2%,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라는 응답이 42.6%을 차지했다.

특히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기업’임에도 ‘기한 내 목표 달성이 불가능하다’고 응답한 기업도 86.0%’(감축은 가능하나 목표 기한 내 달성은 불가능하다 46.5% + 감축과 달성 시기 모두 불가능한 수준이다 39.5%)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중소기업이 온실가스 감축에 대해 상당한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탄소중립 대응계획을 수립하지 못한 이유로는 △탄소중립에 대해 이해하고 검토할 시간적 여유 부족(51.2%), △자금·인력 부족(31.2%), △검증된 기술 또는 설비의 부재(23.2%) 순으로 나타났으며, 탄소중립으로 인해 추가적으로 소요되는 비용의 부담 정도에 대해서는 응답기업의 84.8%가 ‘부담(매우 부담(22.2%)+대체로 부담(62.6%))’을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탄소중립 이행에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50.4%),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26.2%),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2.6%) 등을 꼽았다.

다만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기업’의 경우 △중소기업 차등 전기요금제 마련(28.0%), △배출권 무상할당 비율 동결(24.0%)을 가장 필요로 했으며, ‘온실가스 의무감축 비대상기업’의 경우 △노후시설 교체비용 지원(68.7%), △에너지효율 향상기기 도입지원(30.7%)을 가장 필요한 정책이라 응답해, 온실가스 의무감축 대상기업 여부에 따라 필요한 지원정책에 큰 차이를 보였다.

양찬회 중소기업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은 확대됐으나 이를 이행할 수 있는 재정적 여력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중소기업이 노후화된 시설을 교체하거나 에너지효율을 높이는 설비를 도입하는데 있어 정부의 보조율 상향 등 직접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업종별 온실가스 배출현황과 탄소중립 대응 수준이 상이한 만큼, 업종별 협동조합 등을 중심으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며 개별 중소기업 차원에서의 대응이 현실적으로 어렵기 때문에 민간차원에서도 대·중기 상생을 통한 공급망 전반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나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