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상호관세서 스마트폰·컴퓨터 제외
경제·산업
입력 2025-04-13 11:40:32
수정 2025-04-13 11:40:32
이수빈 기자
0개
애플·삼성 등 혜택

관세국경보호국(CBP)은 전날 밤 이런 내용의 '특정 물품의 상호관세 제외 안내'를 공지했다.
제외 대상은 스마트폰과 노트북 컴퓨터,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칩,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이다.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미국 언론은 전망했다.
미국은 현재 중국에는 125%를, 그 외 국가에는 10%의 상호관세를 각각 부과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와 별개로 중국에 대해 이른바 '10%+10%' 관세도 부과한 상태다.
마약 대응 등을 위한 이 20%의 관세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뉴욕타임스(NYT) 등은 분석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상호관세를 발표하면서 기존에 품목별 관세가 부과된 철강, 자동차에 더해 향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예정인 반도체, 의약품 등도 상호관세 대상에서는 제외했다.
이에 따라 이번 스마트폰, 노트북 등에 대한 관세 유예는 일시적일 수 있으며 조만간 다른 유형의 관세가 적용될 수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다만 그 경우에도 대중국 125%의 상호관세보다는 관세율이 낮을 것으로 관측된다.
이와 관련, 백악관은 이날 캐롤라인 레빗 대변인 명의의 성명을 내고 미국은 반도체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과 같은 핵심 기술을 생산하는데 중국에 의존할 수 없다고 밝혔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공정하고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자동차, 철강, 의약품, 반도체 등은 특정한 (다른) 관세에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라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대한 무역확장법 232조 조사 결과를 곧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협을 끼칠 경우 긴급하게 조치를 할 수 있는 권한을 미국 대통령에게 부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 법을 활용해 철강 및 자동차에 각 25%의 관세를 부과한 상태다.
그는 반도체에 대해서도 품목별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라고 반복적으로 언급해왔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롯데, 파리서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중소기업 지원
- LG전자, 인도에 3번째 가전공장…'국민 브랜드' 육성
- CJ제일제당, 日 치바현에 1000억 들여 만두공장 구축
- 제이시스메디칼, 미국·아시아 국제 학회 연이어 참가
- YBM 인강, 5월 토익 대비 무료 특강 진행
- 한국앤컴퍼니그룹, CVC 출범…"그룹 신성장동력 확보"
- HK이노엔, 비만 신약 도전… GLP-1 계열 치료제 임상 3상 승인
- 한온시스템, 1분기 영업익 209억…전년比 68.5% 감소
- K2 Safety, '브랜드 고객 충성도 대상' 안전화 부문 1위
- 서만군·설철환·최홍림·김연준 JW정원성형외과 원장, 'APS KOREA' 강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롯데, 파리서 '롯데-대한민국 브랜드 엑스포'…중소기업 지원
- 2광주 서구, '착한가게‧착한쿠폰'..."기부문화⋅골목상권 활성화 기여"
- 3LG전자, 인도에 3번째 가전공장…'국민 브랜드' 육성
- 4해남군, 스마트폰 앱으로 농기계 임대 간편 예약
- 5CJ제일제당, 日 치바현에 1000억 들여 만두공장 구축
- 6제이시스메디칼, 미국·아시아 국제 학회 연이어 참가
- 7YBM 인강, 5월 토익 대비 무료 특강 진행
- 8목포시, 개인지방소득세 종합소득분 신고창구 운영
- 9한국앤컴퍼니그룹, CVC 출범…"그룹 신성장동력 확보"
- 10김성 장흥군수 “인구소멸 극복 위한 핵심과제 대선공약 반영 요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