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셋값 오른다”…빌라·다세대 풍선효과 우려

[앵커]
정부가 다주택자 및 등록임대사업자를 규제하는 대책을 연이어 내면서 시장에선 전셋값이 오를 거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다주택자와 법인 등에 대해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등을 큰 폭으로 올리면서 임대를 내놓는 대신 매매, 증여 등으로 관심이 몰릴 거란 전망 때문입니다. 지혜진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일대에선 전세물건 구하기가 어려워졌습니다. 대치동 일부가 토지거래허가지역으로 묶인 데다, 세 부담 강화 등 강력한 대책의 영향권 아래 들어왔기 때문입니다. 재건축 분양권을 받으려면 2년 실거주 의무까지 생긴 은마아파트 전세 구하기는 하늘의 별따깁니다.
[싱크] 은마아파트 일대 공인중개사
"상대적으로 찾는 사람들은 꾸준히 있고. 물건은 없으니까. 전세를 구하려는 사람이, 오늘 아침도 왔는데, 뭐 어떻게 해야 하느냐고 걱정들 많이 하고 간 거에요."
7·10대책으로 민간 주택 등록임대사업자가 사실상 폐지되면서 전세물건이 귀해질 거란 얘깁니다. 전문가들은 궁극적으로는 전셋값이 매매가격만큼 오를 수도 있다고 조언합니다.
일각에서는 ‘풍선효과’ 우려도 있습니다. 이번 대책이 아파트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섭니다. 투기 수요가 규제가 허술한 빌라나 오피스텔 등 1인 가구가 주로 사는 ‘서민 주거공간’으로 흘러갈 수 있다는 겁니다.
[싱크] 강병원 더불어민주당 의원
“아파트 이외의 주택, 빌라나 다세대 원룸이나, 오피스텔에 대해서는 임대사업을 허용해준 것 아니겠습니까…. 서민들이 주로 살고 있는 곳으로 투기를 하게 되면은 서민들이 실제 들어가서 많이 살고 있는 빌라 다가구의 가격이 오를 수 있고 여기에서 서민들의 피해가 집중될 수 있는 게 아닌가…”
하지만 개인 투자자가 임대사업을 위해 주택을 취득할 유인은 많이 줄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 채상욱 하나금융투자 애널리스트는 “9·13대책 이후 가구별 합산으로 종부세가 바뀐 만큼 양도세 혜택이 있다고 무작정 주택임대사업을 추진할 유인은 없어 보인다”고 분석했습니다. 또 “임대차3법이 추진되면 서민 피해를 보호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서울경제TV 지혜진입니다. /heyj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마트24, 서울대 밥스누 약콩두유빵 3종 출시
- 오리온, '디저트 카페 한정판' 5종 출시
- 구름, 국가 공인 CSAP 인증 획득…공공기관 클라우드 시장 본격 진출
- KT, 팔란티어와 한국서 첫 CEO 회동…AX 혁신 속도
- 뉴질랜드 프리미엄 슈퍼푸드 ‘슈퍼그린’, 홈쇼핑 첫 방송서 완판
- 풀무원, ‘지구식단 저당 볶음짬뽕’ 출시…식물성 라인업 확대
- 셀리맥스, 글로벌 플랫폼 뷰티부문 1위…아마존 이어 예스스타일 석권
- 포스코그룹 장인화, 美서 철강산업 지속가능 성장방안 모색
- 롯데아울렛, ‘SAMG엔터 팝업스토어’ 연휴기간 4만 명 방문
- 해탄, 제4회 창업 설명회 성료…"성공 창업 하세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덕교육발전위, 2028 대입 학부모 교육 아카데미 운영
- 2임미애 의원 “수사 비협조 캄보디아, 농업 ODA 285억원 지원. . .ODA 중단 조치해야”
- 3대구대, ‘내가 만드는 졸업생 특화 프로그램 경진대회’ 개최
- 4임미애 의원 “2천억 넘게 투자한 해외농업자원기업 절반이 문 닫았다. . . 근본대책 마련해야”
- 5임미애 의원 "농업 자본생산성 10년 새 24.7% 급락"
- 6iM뱅크(아이엠뱅크), 외국인 근로자 대상 ‘WELCOME iM 외국인 신용대출’ 출시
- 7LH 대구경북지역본부 “라이온즈파크 열기, 연호지구 경제지도를 바꾸다”
- 8수성구, ‘2025 평생학습축제’ 개최
- 9수성구, ‘2025 미래교육의 날’ 개최
- 10집에서 찍은 1분 영상만으로…아이 자폐 위험 조기 선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