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전국 생산연령인구 1,200만명 감소
전국
입력 2019-06-27 16:51:06
수정 2019-06-27 16:51:06
정훈규 기자
0개

저출산 영향으로 30년 뒤 15∼64세 생산연령인구가 3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의 생산연령인구는 2017년 약 3,800만명에서 2047년 약 2,600만명으로 31.8%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총인구 가운데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같은 기간 73.2%에서 52.4%로 20.8%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습니다.
전국 생산연령인구는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세종에서만 생산연령인구가 늘어나고 나머지 16개 시·도는 생산연령인구가 지속해서 감소할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습니다.
생산연령인구 감소율이 높은 도시는 부산(-45.6%), 대구(-43.4%), 울산(-41.4%), 서울 순으로 꼽혔습니다.
반면 세종은 86.1%(16만명) 늘어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국립공원공단, 고위직 부패방지교육 실시
- 김동연 “하남교산 신도시, 대한민국 대표 AI시티로”
- 인천 로봇랜드 부지 곳곳 흙 쌓여…안전성 지적
- 대구신보, 소상공인 채무부담 완화 지원
- 대구생활문화센터, ‘2025 생동데이교실’ 하반기 수강생 모집
- 대구문화예술진흥원 대구문화예술회관, 코오롱야외음악당 청년 버스킹 운영
- 대구문화예술회관, 미술관 2026년 정기대관 신청 접수
- BPA 조정선수단, '대통령기 시·도대항 조정대회'서 메달 3개 획득
- 남원시의회, 광복 80주년 맞아 만인정신 계승 의지 다져
- 영남대병원, 유방암 적정성평가 8회 연속 1등급 획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