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체류 외국인, 사상 첫 250만 명 돌파

[서울경제TV=정새미 기자]
국내 체류 외국인이 250만명을 처음으로 돌파했다.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가 17일 발표한 2019년 12월 통계월보에 따르면 2019년 12월 말 현재 체류 외국인은 252만4,656명으로 전월보다 3.7%, 전년동기에 비해서는 6.6% 늘어났다.
2007년 8월 100만 명, 2016년 6월 200만 명을 각각 돌파한 데 이어 외국인 250만 명 시대가 열린 것이다.
이 수치는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4.9%에 해당한다. 통상 학계에서 외국인 비율이 5%를 넘으면 다문화사회로 분류한다. 이제 우리나라는 다문화사회 문앞에 다다른 셈이다.
252만여 명 가운데 90일 이상 장기체류할 목적으로 관련 당국에 등록하거나 거소신고를 한 외국인은 173만1,803명(68.6%)이고, 단기체류자는 79만2,853명(31.4%)이다.
국적별로는 중국이 110만1,782명으로 43.6%를 차지한다. 이 가운데 70만1,98명(63.3%)은 이른바 조선족이라고 불리는 한국계 중국인이다.
베트남이 22만4,518명으로 그 뒤를 따랐고, 태국(20만9,909명), 미국(15만6,982명), 일본(8만6,196명), 우즈베키스탄(7만5,320명), 필리핀(6만2,398명), 러시아(6만1,427명), 인도네시아(4만8,854명), 몽골(4만8,185명), 캄보디아(4만7,565명) 등 순이다.
등록외국인의 거주지를 지역별로 보면 경기도(41만4,318명)가 가장 많고 서울(28만1,876명), 충남(세종시 포함·7만6,375명), 경남(7만6,123명), 인,(7만2,259명), 경북(5만8,119명), 부산(4만5,999명), 충북(4만714명), 전남(3만4,638명), 전북(3만3,74명), 대구(3만191명), 제주(2만5,668명), 광주(2만3,825명), 울산(2만450명), 대전(1만9,109명), 강원(1만9,69명) 순이었다.
불법체류 외국인(미등록외국인)은 전년 대비 9.9% 증가한 39만281명에 이르렀다. 전체 체류 외국인에서 차지하는 불법체류율도 15.5%로 2018년보다 0.5%포인트 높아졌다.
외국인 유학생은 18만131명으로 12.1% 늘어났다. 2018년(18.9%)에 비하면 증가율이 둔화했다. 학위과정은 약 11만8,명이고 연수과정이 약 6만2,명으로 집계됐다.
유학생 국적은 중국(7만1,719명), 베트남(5만7,539명), 우즈베키스탄(1만499명), 몽골(8,739명), 일본(2,887명), 네팔(2,331명), 파키스탄(1,905명), 인도네시아(1,461명), 인도(1,451명), 방글라데시(1,387명), 미국(1,385명) 등의 차례였다.
지난 한 해 난민 신청자는 1만5,452명으로 2018년보다 4.5% 줄어들었다. 2018년 1월부터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로 입국해 난민 지위를 신청하자 그해 6월 1일 무비자 입국 대상국에서 예멘을 제외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994년 이후 지난해 12월까지 난민 신청자는 6만4,358명에 이른다. 심사가 끝난 2만8,600명 가운데 1,22명이 난민으로 인정됐고, 2,217명이 인도적 체류 허가를 받았다. / ja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을, 경주가 황금빛으로 물든다. . .경주시, ‘2025 황금카니발’ 개최
- 2한국수력원자력, 저선량방사선의 퇴행성관절염 치료 효과 입증
- 3대구시, 신혼부부 전세자금 대출이자 지원금 11월 1일부터 접수
- 4대구시의회 육정미 의원 "대구시 금고 운영… 투명성과 효율성 강화 필요"
- 5이영애 대구사의원, '대구시교육청 올바른 국어 사용 조례안' 대표 발의
- 6대구시의회, 엑스코 사업 분야 확대로 경쟁력 제고 나서
- 7포항시의회 의원연구단체 '블루오션', ‘민간공원 특례사업 초과이익 환수 정책 세미나’ 개최
- 8김진태 지사, 국토교통부 장관 만나 ‘제5차 국가철도망’신규사업 반영 적극 건의
- 9해남군, 솔라시도에 국가 AI컴퓨팅센터 유치 확정 발표만 남아…삼성 SDS 컨소시엄 단독 응모
- 10고창군-서울시 청소년, 문화유산으로 이어진 '우정의 다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