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북 우선 투자 정책에도…서울 강남·강북 아파트값 격차 더 벌어졌다

[서울경제TV=지혜진기자] 지난 3년 간 서울 강남과 강북 아파트가격 격차가 더 벌어지면서
박원순 시장의 ‘강북 우선 투자 추진 정책’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경제만랩이 KB부동산
주택가격동향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 2018년과 비교했을 때 현재 강남과 강북 아파트 평균매매가격
격차가 더 벌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경제만랩은 2018년 6월
박원순 서울시장이 3선에 성공한 당시 강남의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3324.9만원, 강북은 3.3㎡당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이 2189.8만원 수준으로 가격 격차는
1135.1만원 수준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올해 2월에는 강남의 3.3㎡
아파트 평균매매가가 4039.7만원으로 4000만원대를 돌파했고, 강북의 3.3㎡ 아파트 평균매매가는 2762.8만원을 기록했다. 두 지역의 가격 격차는 1276.9만원으로 3년 전보다 더 커진 셈이다.
경제만랩은 강북 우선투자 정책에도 강남권 아파트 가격이 높아진 이유를 대규모 개발호재의 영향으로 분석했다. 대표적으로 강남구의 삼성동 영동대로 지하 통합개발 프로젝트, 현대차
신사옥 GBC 건립 등을 비롯해 금천구의 신안산선 착공이 강남권 아파트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는 것이다.
오대열 경제만랩 리서치팀장은 “정부가 강남권 아파트 가격을 잡기위해 부동산 규제를 쏟아내고 있지만, 강남권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풍부하고 대규모 개발호재도 갖췄기 때문에 가격이 좀처럼 좁혀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heyji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미약품 첫 비만신약, 40주차 평균 9.75% 감량… 연내 허가 신청
- [부고] 강창동(교촌에프앤비 커뮤니케이션부문 사장)씨 빙부상
- 코웨이 블루휠스, 2025 KWBL 휠체어농구리그 우승
- 포인랩, ‘The Next AI’서 제조산업 AI 비전 제시
- 신세계百, '디올 홀리데이 서커스 오브 드림즈' 팝업 진행
- 한화오션 3분기 영업익 2898억원…전년동기 대비 1032%↑
- 섬마을 소년에서 K‑뷰티 CEO로…이종현 닥터올가 대표, ‘생각을 피부에 바르다’ 출간
- 비디비치 ‘블랙 쿠션’, 출시 한 달 만에 브랜드 매출 1위 기록
- 경주 단팥빵 브랜드 ‘호반장’, APEC 정상회의 공식 협찬사 선정
- 김대영 킴스빈 대표, '2025 장영실국제문화상' 대상 수상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여수시의회 ‘소상공인 연구회’, 지역경제 활성화 공로로 감사패 수
- 2조이웍스앤코 “레이디가구, 신제품 ‘온담 시리즈’ 출시”
- 3입 속 궤양 3주 지나도 안 낫는데…혹시 ‘구강암’?
- 4스트레이 키즈 리노, 삼성서울병원에 1억 원 기부
- 5한미약품 첫 비만신약, 40주차 평균 9.75% 감량… 연내 허가 신청
- 6강창동(교촌에프앤비 커뮤니케이션부문 사장)씨 빙부상
- 7남원시의회, 전북 의장협의회 열어 지역현안 공조 강화
- 8고창군 새마을지도자 한마음대회...우수 지도자 표창
- 9남원시, '남원 자전거 투어&퍼레이드' 성황리에 개최
- 10강원랜드, 제225차 이사회 개최… 미래 성장 기반 강화 위한 주요 안건 의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