펩트론, 전립선암치료제 국내 판권 계약 추진…우선협상대상자 선정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펩트론(087010, 대표이사 최호일)이 1개월 지속형 제네릭 의약품인 전립선암치료제 ‘PT105’의 국내 판권 계약을 추진함에 따라, 국내 유수 제약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고 27일 밝혔다.
펩트론의 전립선암치료제 PT105는 자사의 독자적 약효지속성 의약품 개발 플랫폼 SmartDepot(스마트데포) 기술로 개발해 자체 생산하는 1호 제품으로, 매출 규모 2조원의 약효지속성 류프로렐린 제제인 다케다社의 오리지널 제품과 PK(약물동력학) 동등성을 세계 최초로 확보한 제네릭 의약품이다.
회사는 자체 GMP 시설을 통해 PT105의 대량생산 공정 시스템 구축을 완료했으며, 국내 제네릭 의약품의 허가 규정의 강화에 따라 연내 식약처 IND(임상시험계획) 신청 후 내년까지 국내 허가용 생동성시험(BE)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PT105는 국내에서도 오리지널 제품 루프린과 PK가 동등한 최초 제네릭 의약품으로 출시될 것으로 전망되며, 출시 예정 시점은 2022년이다.
이를 겨냥해 펩트론은 우선 국내 제약사 10여 곳과 국내 판권 라이선싱 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했으며, 유수의 한 제약사를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했다. 이르면 연내 본계약을 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사전 마케팅 및 판로 개척을 위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임상 투자 전 최소물량(MOQ)를 확보한다는 목표다. 또한 펩트론은 국내 생동성시험 성공 후 이를 바탕으로 해외 판권 라이선싱 계약 및 선진국 기준 생동성시험을 진행해, PT105를 글로벌 제네릭 제품으로 내놓겠다는 전략이다.
최호일 펩트론 대표이사는 “PT105의 국내 시장 출시 후 기대 매출액은 연 200억원 규모이며, 해외 시장까지 출시를 완료하면 19억 달러 규모의 글로벌 류프로렐린 제제 시장에 진출하는 것”이라며 “PT105의 성공적 사업화를 통해 회사의 폭발적 성장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PT105의 오리지널 의약품인 다케다社의 ‘루프린’은 1989년 출시 후 30년이 넘도록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하고 있는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다. 현재 물질 및 제조 특허가 모두 만료됐으나, 제조 공정 및 기술 재현이 까다로워 제네릭 개발에 진입장벽이 되고 있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우리은행, ‘우리WON모바일 적금’ 출시…최고 연 7.0% 금리
- MDS테크, 애니데스크 국내 독점 총판 기념 첫 파트너 행사 성료
- 씨피시스템, 한국서부발전과 280m 장거리 케이블체인 추가 수주
- 케이뱅크, 1분기 당기순이익 161억원…전년比 70% 감소
- 신한라이프, 차세대 경영자 위한 ‘NSC 아카데미’ 성료
- 우리은행, 자립준비청년 지원 위해 3자 업무협약 체결
- KB금융, 금융권 최초 '에이전틱 AI' 기반 생성형 AI 플랫폼 오픈
- 현대카드, ‘톰 삭스 전’ 래플 패키지 티켓 출시
- iM증권, '내일출금 초단기채 펀드' 출시
- 키움증권, ‘사회초년생 자산 UP! 영상 공모전’ 시상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노무현재단 광주지역위원회, 故 노무현 대통령 서거 16주기 추모행사 진행
- 2"우울증 등 정신장애 유전변이, 주관적 행복에도 영향"
- 3한샘, '1호 매장' 방배점 매각…자산 유동화 전략
- 4한진관광, 중식 대가 여경래 셰프와 ‘홍콩 미식 투어’ 출시
- 5'K-보톡스' 알린다… 대웅제약, '딥 나보타 마스터 클래스' 개최
- 6외가문중 땅 특혜의혹 구복규 군수 경찰 이송
- 7나주시, 남평 강변도로 1.2㎞ 구간 '조기 개통'
- 8장재훈 현대차 부회장 "사우디와 협력…국내투자 위축 전혀 아냐"
- 9부산시-신보, AI·빅데이터 기반 기업분석시스템 '바사(BASA)' 활용 MOU
- 10카찹하이케어, 수소 충전 플랫폼 ‘하이케어’ 서비스 리뉴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