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스피커처럼"…'U+tv 프리' 네이버 클로바 호출어 탑재

[서울경제TV=윤다혜기자] LG유플러스가 국내 최초로 선보인 이동형 IPTV인 ‘U+tv 프리’에 신규 기능을 추가했다고 18일 밝혔다.
LG유플러스는 U+tv 프리 이용 편의와 신규 가입자 확대를 위해 ‘네이버 클로바 호출어’를 탑재하고 ‘돌비 에트모스(Dolby Atmos) 가상화’ 기능을 업데이트했다.
‘U+tv 프리’는 TV 형태의 태블릿에 셋톱박스가 결합된 형태로, 집안 어디에서나 유선 IPTV 화질 그대로 콘텐츠 시청이 가능한 이동형 기기다. 별도 로그인 없이 전원만 켜면 241개 실시간 채널과 약 22만편의 VOD는 물론 넷플릭스와 유튜브, U+아이들나라, U+프로야구 등 콘텐츠를 시청할 수 있다.
네이버의 클로바 호출어 탑재로 U+tv 프리 이용자는 해당 제품을 AI 스피커처럼 제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기존에는 음성 인식 기능을 활용하기 위해 U+tv 앱 실행해야 했지만, 이제는 스크린이 꺼져있는 상태에서도 “헤이 클로바. tv 켜줘”라는 명령어 한 마디로 U+tv 앱이 자동 실행된다.
채널 변경 및 VOD 검색도 가능하다. 호출어와 함께 채널 번호 또는 채널명을 말하면 해당 채널로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또 “헤이, 클로바. 최신영화 찾아줘”라고 명령하면 최신 영화 리스트 페이지에 진입하고, “첫 번째”라고 이어 말하면 이를 인식해 첫 번째 VOD 콘텐츠 구매 화면으로 이동한다.
또 돌비 애트모스 가상화 기능을 통해 보다 풍부한 사운드로 콘텐츠를 감상할 수도 있다. 돌비 애트모스는 사람·장소·사물·음악 등 각각의 소리를 정밀하게 구현할 수 있는 음향 기술이다. 이 기능은 U+tv 프리의 화면 설정에서 ‘돌비 아이콘'을 켜면 활성화된다. 넷플릭스나 유튜브는 물론, 실시간 채널, VOD 등 모든 콘텐츠에 적용된다.
올해 LG유플러스는 U+tv 프리의 본연의 기능인 TV 시청을 위한 품질 및 이용 편의를 강화하고, 네이버와 협력을 통한 클로바 AI 서비스를 지속 업데이트할 계획이다. 앞서 ‘U+tv 프리‘는 지난 2019년 9월 출시돼 가입자가 지난해 1월에 비해 4배가량 늘었다.
LG유플러스 미디어사업담당 이건영 상무는 “코로나 이후 비대면 회의나 교육이 증가함에 따라 카메라와 마이크 탑재로 양방향 소통이 가능한 U+tv 프리에 대한 니즈가 급속도로 확대되고 있다”며 “고객이 U+tv 프리를 댁내 TV 시청 뿐만 아니라 화면 일체형 AI 스피커 및 영상통화 등과 같은 언택트 서비스가 가능한 홈미디어 전용 디바이스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yund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티웨이항공, 유럽 로마·파리 노선 현장점검 진행
- 컨츄리시티즌, ‘전국 청년 로컬 브랜드 소개’ 팝업스토어 성료
- N32, ‘롯데백화점 웨딩페어’ 참여
- 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 베스트텍, AI-MIT 플랫폼으로 글로벌 실천 사례 제시
- 11번가, '한국서비스품질지수' 18년 연속 e커머스 부문 1위
- 쿠팡, ‘원피스 페어’ 개최…"여름 원피스 최대 70% 할인"
- 파인메딕스, 중앙亞 9개국 진출…내시경 절개칼 ‘클리어컷 나이프’ ODM 계약
- 에이지스킨, 日 홈쇼핑 QVC서 완판 기록
- 호반산업, 국토교통부 상호협력평가 최우수 등급 획득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로엔서지컬 신장결석 수술로봇 ‘자메닉스’, 인도네시아서 첫 수술 성공
- 2티웨이항공, 유럽 로마·파리 노선 현장점검 진행
- 3수출입銀, 대만 해상풍력 사업에 1억5000만 달러 금융 제공
- 4루닛의 AI 진단 솔루션 도입 병원 '1만 곳'… 90% 이상이 해외
- 5관상동맥 막혔을 때…스텐트 vs 수술, 뭐가 더 낫나요?
- 6김광열 영덕군수, 산불 대응 관계기관 방문 및 유공자 표창
- 7영덕군 7개 해수욕장, 오는 18일 일제 개장
- 8컨츄리시티즌, ‘전국 청년 로컬 브랜드 소개’ 팝업스토어 성료
- 9N32, ‘롯데백화점 웨딩페어’ 참여
- 10싱가포르항공, 크리스플라이어 마일리지 전환 비율 개선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