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반도체 벨트’ 구축…기업들 510조 투자

[앵커]
정부와 민간이 손잡고 2030년까지 국내에 세계 최대의 반도체 공급망인 ‘K-반도체 벨트’를 구축합니다.
반도체 제조부터 소재·부품·장비, 첨단장비, 팹리스 등을 아우르는 반도체 제조 인프라를 만들겠다는 겁니다. 정훈규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격화하는 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속에서 우리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을 키우기 위한 ‘K-반도체 전략’을 내놨습니다.
기업들과 함께 국내에 세계 최대·최첨단 반도체 공급망을 만들겠다는 것이 이번 전략의 핵심입니다.
정부는 이를 ‘K-반도체 벨트’라고 이름붙였습니다.
이 벨트는 판교와 기흥~화성~평택~온양의 서쪽, 이천~청주의 동쪽이 용인에서 연결돼 ‘K자형’ 모양이 됩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이 올해부터 2030년까지 10년간 510조원 이상을 투자합니다.
올해 투자규모만 41조8,000억원에 달하는데, 이는 단일산업 중 최대 규모입니다.
또 국내에서 단기간 내 기술추격이 어려운 EUV(극자외선) 노광과 소재 분야 등에선 외국인투자기업 유치도 확대할 계획입니다.
정부는 세제 혜택 등을 통해 이들 민간의 투자를 뒷받침합니다.
특히 기업 대상 세액공제 중 ‘핵심전략기술’ 트랙을 신설해 반도체 R&D에 최대 40∼50%, 반도체 시설투자는 최대 10~20% 공제해주기로 했습니다.
금융지원도 확대합니다. 총 1조원 이상의 ‘반도체 등 설비투자 특별자금’을 신설해 우대금리로 설비투자를 지원할 방침입니다.
반도체 인력 양성에도 나서 10년간 산업인력 3만6,000명을 육성합니다.
이런 전략이 차질없이 추진된다면 연간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992억 달러에서 2030년 2,000억달러로 증가하고, 고용인원도 총 27만명으로 늘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습니다. 서울경제TV 정훈규입니다. cargo29@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주먹구구 계산법이라 비판받는 트럼프 상호관세율
- 美中 무역 전쟁 심화…가운데서 ‘이중고’ 겪을 수 있는 韓
- 스페이스X, 수조원대 美국방부 위성발사 계약 수주
- 쎄크·바이오비쥬, 코스닥 상장 공모가 내주 확정
- 美中 무역 전쟁 격화…애플 200달러·엔비디아 100달러선 무너졌다
- 에프제이코리아, ‘디사론노 갓파더 위크’ 개최
- 연세사랑병원 "인공관절 전 ‘자가지방유래 기질혈관분획’ 고려"
- 美 관세 부과에 통상전쟁 격화…움츠러드는 기업공개 시장
- “취업자 얼마나 증가했나”…통계청, 9일 ‘3월 고용 동향 발표’
- 글로벌 증시 폭락…금값 ‘3%’ 급락…온스당 3024.2달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