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美일리노이주 곡물 작황·안정적 조달체계 점검
"수입 대두 품질 잔류물질 검사 철저히" 당부
밀·콩 자급률 제고 위한 중장기 대책 방안 모색

[나주=신홍관 기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김춘진 사장이 미국 일리노이주 소재 Non-GM 대두와 옥수수 재배농장을 찾아 파종 진행 상황과 현장을 점검했다. 러-우크라 전쟁 등으로 불안정한 곡물 수급시장에서 식량안보 확보를 위한 현장 경영에 나선 것이다.
김춘진 사장은 또 곡물 유통 회사이자 Non-GM 대두를 취급하는 CGB Enterprises, Inc.의 리버엘레베이터를 방문, 일리노이강에서 미시시피강으로의 곡물 수상 운송과 수출 과정을 점검하고 업계 관계자와 안정적 곡물 수급 방안도 논의했다.
현장에서 김 사장은 “지난해 우리나라는 Non-GM 대두 전체 수입량 중 80% 이상을 미국에서 도입했다”며 “국민의 안전한 먹거리를 위해 한국으로 공급하는 Non-GM 대두의 품질과 잔류물질 검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했다.
아울러 “식량안보를 위해서는 미국 곡물 인프라와 생산지 현황 파악이 중요하다”며, “앞으로 국제 곡물시장 정보조사와 네트워크를 확대하고 중장기적으로는 식량자급률 제고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김춘진 사장의 이번 미국 농장 현지 방문은 러-우크라 사태 장기화, 일부 국가의 식량 수출제한 등으로 식량 위기가 가속화됨에 따라 수입에 의존해 오던 주요 식량작물인 밀·콩의 자급률 제고를 위한 정부의 중장기 대책을 마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국산 밀·콩의 생산 기반 강화와 곡물 전용 비축시설 확보로 공공비축을 단계적으로 확대해 2027년까지 밀과 콩의 자급률을 각각 7%, 37.9%까지 높여 나갈 계획이다.
한편, 지난해 미국은 세계 대두 생산 및 수출 2위 국가로, 일리노이주는 1,830만 톤의 대두를 생산해 미국 내 생산량 1위를 기록했다. /hknew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강기정 시장, 주한 일본대사와 우호협력 논의
- 광주 서구의회 임성화 의원, ‘청소년 복합체육시설’조성 제안
- 함평군‧전남도‧(주)동우, 67억원 규모 투자협약 체결
- 담양군수 재선거 유력후보 A씨…경선불복 ‘10년 후보 무자격’ 당헌에 발목잡히나?
- 이정선 교육감 동창 감사관 채용비리 인사팀장 구속…검찰칼끝 어디까지?
- 광명시,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18개 동 방문
- KTL, 첨단 기능성 소재기반 산업 육성
- 경기도의회, "GH·경기신용보증재단 이전"...재검토 촉구
- 경기도의회, '파주 교하동'...경기경제자유구역 유치 언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산업부,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
- 2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3여야 '5월 조기대선' 가능성에 '고심 VS 본격화' 대응
- 4KT, 에이블스쿨 잡페어…“실무 역량 갖춘 AI 인재 채용"
- 5KT, MWC 2025 참가…대한민국 AI 기술력 알린다
- 6LG엔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공개
- 7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차세대 제품·기술 공개
- 8‘3대 폼팩터 모두 공개’ SK온, 인터배터리 2025 참가
- 9"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10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