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석준 의원, 구직급여 반복수급 문제 개선 위한 고용보험법 개정안 대표발의
구직급여 제도적 허점 악용 반복수급 도덕적 해이 심각
장기 근속자와 취약계층 보호 강화하는 구직급여 제도 합리적 개선 시급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홍석준 의원(국민의힘, 대구 달서구갑)은 구직급여 제도의 허점을 악용해 반복수급 하는 도덕적 해이 문제를 개선하고, 장기 근속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기 위한 '고용보험법' 일부개정안을 26일 대표발의 했다.
1995년 7월 도입된 우리나라 구직급여 제도는 외환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기여요건 완화, 지급수준 확대, 최저임금과 최저구직급여액 연동 신설 등 제도가 개편된 이후 현재까지 20여 년간 큰 틀이 유지돼 왔다.
그런데 현행 구직급여 제도는 수급자의 근로의욕을 저해하고 반복수급과 같은 도덕적 해이를 야기하는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현행 구직급여 제도는 최저임금의 80% 를 최저구직급여액으로 정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최저임금에서 소득세나 사회보험료 등을 납부한 이후 실제 소득이 구직급여 수령액보다 낮아지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
홍석준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2022 년 기준 전체 수급자 162.8 만명 중 세후 임금 대비 구직급여액이 많은 수급자는 45.3만명 (27.9%) 에 이른다.
이처럼 취업하여 최저임금을 받는 것보다 구직급여 수급이 오히려 유리한 상황에서 취업하지 않고 형식적 또는 허위로 구직활동을 하면서 구직급여에 의존하는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고 있다 .
이에 대해 근로의욕을 제고하고 구직활동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구직급여 제도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현행 피보험단위기간이 180 일로 짧아서 단기간 취업하였다 하더라도 재차 구직급여를 받을 수 있고, 이로 인해 최근 단기적으로 취업과 실업을 반복하며 구직급여를 수급하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홍석준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5년간 3회이상 반복수급자는 2018년 8만 2천명에서 2022년 10만 2천명으로 급증했고 매년 반복수급자 수가 증가하고 있다.
또한, 2023년 3월 기준 실업급여 수령액 상위 10 명의 수령 횟수는 19~24 회 수령 했고 대부분 동일업종 동일사업장에서 반복해 수령하고 있는 실정이다.
피보험단위기간은 과거 12개월에서 98년 외환위기 대응 과정에서 6개월(180일)로 대폭 완화된 이후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데, 독일(12개월), 스위스 (12개월), 일본(12개월) 등 OECD 주요국에 비해 지나치게 짧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대해 피보험단위기간을 연장해 구직급여 반복수급 행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홍석준 의원이 발의한 법안은 피보험단위기간의 요건을 180일에서 10개월로 연장하고, 구직급여일액을 평균임금에 대해 100분의 60을 곱한 금액으로 동일하게 산정해 구직급여액과 피보험단위기간을 합리적으로 조정하도록 했다.
대신 생계가 어려운 저소득층에 대해서는 개별연장급여를 현행 구직급여액 70% 에서 90% 로 상향하고, 장기 근속자의 최대 소정급여일수도 현행보다 확대하는 등 취약계층 지원과 장기 근속자 우대를 강화했다.
홍석준 의원은 “현행 구직급여 제도의 허점을 악용하여 반복수급 하는 도덕적 해이를 방치할 경우 결국 성실하게 일하고 있는 선량한 노동자에게 피해를 주게 된다”면서, “실업자의 생계를 보호하고 조기 재취업을 지원하기 위한 구직급여 제도의 본래의 취지가 훼손되지 않고, 성실한 구직자와 취약계층에 대해 보다 많은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제도를 조속히 개선해야 한다”고 입법취지를 밝혔다 .
덧붙여 “장기 근속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보다 강화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해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부산학생인성교육원, 대안교육기관 학생 대상 '희망 마중물 교실' 운영
- 경북교육청정보센터, '2025 을지연습 민방위훈련' 실시
- 의성군, 국립칠곡숲체원서 ‘청소년 생태전환 교육’ 참여
- 의성군, 과수거점APC 전국 경영평가 1위 달성
- 안동시, 산불피해 주민 위한 찾아가는 문화공연 성료
- 안동시-안동학가산김치, 53억 원 규모 증축 투자협약 체결
- 안동교육청, 2025 학습코칭단 하반기 역량 강화 전문교육
- 대구광역시농업기술센터 "우리 쌀, 발효로 다시 태어나다". . .‘K-Rice 발효과정’ 수강생 모집
- 김정기 대구시장 권한대행, 2025년 을지연습 실제훈련 참관 및 주민대피 동참
-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 이동노동자 쉼터 현장 방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업황 부진에도 고려아연 ‘웃고’ 영풍 ‘울고’…고려아연, 선제적 경영판단과 다각화 빛났다
- 2삼성전자, AI로 보이스피싱·스팸 한 번에 차단
- 3부산학생인성교육원, 대안교육기관 학생 대상 '희망 마중물 교실' 운영
- 4로볼리전트·테솔로, AI·정밀 다관절 기술 융합…산업 로봇 시장 혁신 이끈다
- 5KT, 지니 TV에 ‘베베핀: 커다란 동물 세계’ 론칭
- 6KT, 희망나눔인상에 유튜브 채널 ‘하이머스타드’ 선정
- 7제천미니복합타운, 초등학교 부재에 주민 불만 일파만파
- 8제천 첫 컴팩트 시티 ‘제천미니복합타운’ 초등학교 부재 우려
- 9경북교육청정보센터, '2025 을지연습 민방위훈련' 실시
- 10유안타증권, 금융센터인천본부점 투자설명회 개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