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황 부진에도 고려아연 ‘웃고’ 영풍 ‘울고’…고려아연, 선제적 경영판단과 다각화 빛났다
경제·산업
입력 2025-08-21 10:19:41
수정 2025-08-21 10:19:41
이수빈 기자
0개
고려아연 별도기준 매출 4조8,500억, 영풍 3,860억의 ‘12배’…연결매출도 ‘6.5배 격차’
별도 영업익, 고려아연 20% 증가 5,392억 ‘수익성 우위’…영풍, 3년연속 영업적자
고려아연 경영진, 시장변화 선제대응 평가…’안티모니·인듐’ 전략광물과 ‘금·은’ 귀금속 호조
영풍 별도매출 80% 이상 ‘아연괴’ 편중…’환경법 위반’ 등 석포제련소 환경오염 이슈 ‘악재’

고려아연은 안티모니, 인듐 등 전략광물과 금·은 등 귀금속 판매 호조가 뒷받침되면서 전년동기 대비 실적이 대폭 증가했다. 반면 영풍의 실적은 크게 뒷걸음질 치고 있다. 업계에서는 환경 법규 위반에 따른 석포제련소 조업정지 타격, 특정 품목에 편중된 사업 포트폴리오 한계 등을 배경으로 지적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고려아연은 올해 상반기 연결기준 매출이 7조6582억원으로 전년동기 5조4335억원 대비 40.9%(2조2246억원) 증가하면서 창사 이래 최대 상반기 실적을 기록했다. 이는 영풍의 상반기 매출 1조1717억원 대비 약 6.5배 규모다. 별도기준 격차는 더욱 현격하다. 고려아연 매출은 4조8500억원으로 3860억원을 기록한 영풍의 12배가 넘는다.
수익성 측면에서도 차이가 현격하다. 상반기 영업이익의 경우 고려아연은 연결기준 5300억원을 시현하며 102분기 연속 영업흑자를 달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4532억원 대비 16.9%(767억원) 증가한 금액이다. 별도기준으로는 4480억원에서 5392억원으로 20.3%(912억원) 늘었다.
반면 영풍은 2023년부터 3년 연속으로 영업적자를 겪고 있다. 영풍의 올 상반기 연결기준 영업손실은 1,50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영업손실 431억원과 비교해 적자 규모가 3배 이상 불어났다. 별도기준 영업손실도 1434억원으로 전년동기 -6억원 대비 적자가 245배가량 급증했다.
업계에서는 고려아연과 영풍의 실적 격차가 벌어진 배경으로 선제적 시장예측과 투자, 포트폴리오 다각화 등 사업역량 및 경영능력의 차이를 거론한다. 고려아연 최 씨와 영풍 장 씨, 두 가문의 경영철학과 방향 등 근본적인 차이에 더해 3세 들어 시장변화와 사업환경 등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성장동력을 발굴하려는 노력과 투자에 있어 서로 다른 행보를 보이면서 현격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 재계의 평가다.
고려아연은 세계에서 유일하게 ‘아연·연·동 통합공정’을 구축하고 아연 및 연 정광에 포함된 극미량의 희소금속 10여종을 추출하는 능력을 확보했다. 회수율을 품목별로 20~30% 끌어올리는데 집중하고 기술 혁신을 추구하면서 수익성 향상을 견인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표적 전략광물인 안티모니 판매량은 2,261톤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741톤보다 29.9%(520톤) 증가했고 판매액은 306억원에서 1614억원으로 5배 이상 늘었다. 안티모니는 난연성이 우수해 탄약, 미사일 등 방위산업의 핵심소재로 활용된다.
귀금속 실적도 준수하다. 은 판매량은 작년 1~6월 997톤에서 올 상반기 1035톤으로 3.8%(38톤) 늘고 판매액은 1조869억원에서 1조5193억원으로 39.8%(4324억원) 증가했다. 금 또한 상반기 판매액이 3270억원에서 7732억원으로 2배 넘게 급증했다.
아연, 연 등 기초금속부터 전략광물, 귀금속까지 다양한 품목을 생산하는 고려아연과 달리 영풍의 포트폴리오는 특정 품목에 과도하게 편중됐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올 상반기 영풍의 별도기준 매출 3860억원 가운데 아연괴 판매로 발생한 매출이 82.8%(3196억원)를 차지한다. 아연 가격 약세, 제련수수료(TC) 하락 등 본업 악재에 따른 실적 위축을 상쇄하지 못한 요인으로 꼽힌다.
석포제련소가 폐수 유출과 무허가 배관 설치 등 물환경보전법 위반으로 올 2월 26일부터 4월 24일까지 58일간 조업정지 행정처분을 받은 점도 영풍 실적에 악재로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이는 아연괴 생산량이 지난해 상반기 11만6799톤에서 올해 같은 기간 6만9880톤으로 40.2%(4만6919톤) 줄어든 요인으로 지목된다. 올해 1~6월 석포제련소의 평균 가동률은 34.9%로 전년동기 58.4% 대비 23.5%p 급락했고 5년 전인 2020년 상반기 84.2%와 비교하면 49.3%p 떨어졌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한운용,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 ETF 시리즈' 월 분배금 지급
- 삼성·OpenAI '맞손' …'스타게이트' 협력 나선다
- 김치냉장고 '딤채' 위니아, 3번째 도전 끝에 회생절차 개시
- 중기부, ‘AI 스타트업 간담회’ 주재…오픈이노베이션 강화 논의
- 고려아연 찾은 김두겸 시장 "어려운 상황 잘 대응…울산 시민도 마음 보태"
- 계룡건설-한국전기안전공사, '전기안심 인증' 업무 협약
- ‘무비자’ 中 관광객에 유통가 들썩…연말 기대감 ‘쑥’
- [서울경제 미래컨퍼런스] AI 혁신과 산업 대전환…“연결·협업으로 새 판짜야”
- LG전자 인도법인, 14일 상장…“글로벌 사우스 공략”
- 코웨이, ‘2025 한국산업의 고객만족도’ 3관왕 달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투운용, ACE ETF 순자산액 20조원 돌파
- 2신한운용, 'SOL 팔란티어 커버드콜 ETF 시리즈' 월 분배금 지급
- 3NH투자증권, '공휴일 해외주식 배당급 지급 서비스' 시작
- 4여수상공회의소, ‘석유화학업종 고용회복 지원금’ 추석 전 조기 지급에 총력
- 5'민원해결사' 이숙자 남원시의원, 학생 안전 지키는 생활 의정 빛났다
- 6남원시, 제9회 가족사진 공모전 수상작 20점 선정
- 7남원시, 전북장애인체육대회서 42개 메달 쾌거
- 8남원시, 경남 스마트팜 혁신밸리 벤치마킹…첨단 농업의 미래 설계
- 9기장군, 철도 인프라 확충 통한 교통편의 개선에 ‘총력’
- 10삼성·OpenAI '맞손' …'스타게이트' 협력 나선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