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카닷컴 "여름 휴가철 앞두고 국산·수입 SUV 인기"

[서울경제TV=박세아기자] 여름 휴가철 앞두고 중고차 시장에서 국산·수입 SUV 판매가 늘고 있는 분위기다.
엔카닷컴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7월 중고차 시세를 11일 공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공개된 중고차 시세는 엔카닷컴 빅데이터를 토대로 현대자동차, 기아, 르노코리아자동차, KG모빌리티 등 국내 완성차 브랜드와 벤츠, BMW, 아우디 등 수입차 브랜드의 2020년식 인기 차종 중고차 시세를 분석한 결과다. 주행거리 기준은 6만km이며 무사고 차량을 대상으로 분석했다.
엔카닷컴 빅데이터를 토대로 7월 국산차 및 수입차 대표 모델들의 시세를 분석한 결과, 평균 시세는 전월 대비 0.26% 미세하게 상승한 보합세다.
이번 7월은 여행, 레저 등 이동과 아웃도어 활동이 많아지는 여름 휴가 시즌을 맞아 SUV 수요가 증가하며 국산 및 수입차 모두 SUV가 세단 보다 강세를 보였다. 특히 SUV 중에서도 보다 활용성이 큰 중형급 이상 세그먼트 모델을 중심으로 시세 상승폭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차 평균 시세는 0.18% 미세하게 하락해 전월 대비 변동폭이 크지 않은 가운데, 일부 SUV, RV 모델이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 패밀리 RV로 인기가 높은 기아 더 뉴 카니발 9인승 프레스티지는 전월 대비 2.27% 시세가 올랐으며, 현대 팰리세이드 2.2 2WD 프레스티지 1.13%, 제네시스 GV80 3.5T 가솔린 AWD는 1.07% 상승했다. 이 외에도 준중형, 중형급인 더 뉴 싼타페, 스포티지 더 볼드도 1% 중반대의 시세 상승률을 보였다.
반면 더 뉴 SM6 1.8 TCe 프리미에르, 더 뉴 아반떼 AD 1.6 스마트는 3%로 시세가 다소 하락했으며, 이 외 더 뉴 그랜저 IG, 쏘나타 (DN8), K5 3세대와 같은 모델은 시세가 하락하진 않았지만 상승폭이 미미한 수준이다.
SUV 시세 상승 트렌드는 수입차에서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수입차 평균 시세는 0.78% 상승한 가운데, 중고차 시장에서도 수요가 높은 E-클래스, 5시리즈와 같은 대표 중대형 세단들의 시세가 하락한 데 비해 중대형 SUV 모델들의 시세는 상승세를 보였다
BMW X5 (G05) xDrive 30d xLine은 지난 달에 이어 2.77% 올랐으며, 지프 랭글러 (JL) 2.0 루비콘 파워 탑 4도어는 2.38%, 포드 익스플로러 6세대 2.3 리미티드 4WD는 1.78% 시세가 상승했다. 최근 몇 달 간 하락세를 보였던 볼보 XC90, XC60 2세대 모델들도 각각 1.50%, 0.44% 시세가 반등했다.
엔카닷컴 관계자는 “신차 프로모션이 활발한 시즌임에도 꾸준한 SUV 인기 트렌드와 맞물려 상대적으로 합리적인 가격대에 구매할 수 있는 중고 SUV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며 “유가 및 중고차 가격 안정화까지 더해져 여름 휴가철 시점 전까지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ps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2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3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4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5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6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7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8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9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10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