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가톨릭대병원 이비인후과 이동원 교수, SCIE 저널 논문 게재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대구가톨릭대학교병은 이비인후과 이동원 교수의 논문(교신저자: 한양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태경 교수/제1저자: 이동원 교수) ‘ADH7 유전자 다형과 음주가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종의 발생 위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Impact of Alcohol Dehydrogenase 7 Polymorphism and Alcohol Consumption on Risk of Head and Neck Squamous Cell Carcinoma: A Korean Case-Control Study ADH7)’가 SCIE 저널인 Journal of Clinical Medicine에 게재되었다고 밝혔다.
이동원 교수의 논문에 따르면, 두경부 악성종양은 전세계적으로 7번째로 흔한 종양으로, 국내에서는 모든 악성종양의 3%를 차지한다. 대부분은 편평세포암종이며, 발병요인은 환경적 요인과 숙주 요인으로 나뉜다. 환경적 요인으로는 음주, 흡연, 영양결핍, 자외선 및 방사선 노출, 직업적 먼지나 중금속 노출, 바이러스 감염 등이 있으며, 특히 음주는 상기도 및 상부소화관 악성종양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나 암 발생은 음주량에만 비례하지 않으며, 개인의 유전적 차이와 유전적 감수성(genetic susceptibility)이 영향을 미친다. 알코올 대사에 관여하는 효소(Alcohol dehydrogenase, ADH)의 대사 능력은 유전자 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에 따라 변하며, 이는 알코올과 관련된 질환 발병에 영향을 준다.
이에 이동원 교수는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환자군과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ADH7 (Alcohol dehydrogenase 7) 단일 염기 다형의 분포를 조사하여 ADH7 단일 염기 다형성이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의 발병과 연관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했다.”며 연구 배경을 설명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로 ADH7 유전자 다형성(rs3737482T>C와 rs1154460G>A)은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발병과 연관이 있으며, 한국인 두경부 편평세포암 발생의 고위험군을 선별하는 분자생물학적 표지자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고 밝혔다.
이동원 교수는 “좋은 연구를 할 수 있어 감사하다. 아울러 저널까지 게재되어 기쁘게 생각한다.”며 “연구를 지속하여 보다 더 좋은 결과로 이비인후과학 발전과 환자들의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겠다.” 고 소감을 전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심우일의 인생한편] 사라진 얼굴과 자기기만의 세계
- [문화 4人4色 | 김춘학] 이야기가 끓는 도시, 군산
- 경주시, ‘2025 경주국가유산야행’ 9만 명 다녀가며 성황리 마무리
- 영천시 스마트도시통합센터, 인공지능 기반 ‘지능형 스마트 선별관제시스템’ 본격 운영
- 포항시, 추석 연휴 16만 명 찾아 북적 …체류형 관광도시 가능성 입증
- 포항시, ‘2025년 미(美)&미(味) 페스타’ 11일 개막
- 포항시, 지열발전부지 ‘심부지진계 재설치’ 앞두고 주민설명회 개최
- [김천시 기획] 같이 만드는 가치, 모두가 주인 되는 아포
- 영천시 임고면, ‘2025년 가을음악회 및 주민자치 발표회’ 성료
- 정연욱 의원, 정부 ‘중국인 관광객 무비자 입국’ 추진에 우려 표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