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단독주택 공시가 0.57%↑…“변동폭 역대 최저”

[앵커]
정부가 내년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을 공개했습니다. 변동 폭이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는데요. 공시가격의 현실화율도 올해 수준으로 동결했습니다. 서청석 기자입니다.
[기자]
내년 단독주택 공시가가 올해 수준으로 동결되면서 부동산 보유세 부담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이 될 전망입니다.
오늘(2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내년 전국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이 올해보다 0.57% 오릅니다. 표준지 공시가는 1.1% 상승합니다. 표준지, 표준주택 공시가격 변동폭은 2005년 주택 공시 제도 도입이래 가장 낮은 수준입니다.
정부는 올해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전 정부가 현실화 로드맵을 수립하기 전인 2020년 수준으로 되돌려 적용한 뒤 2년 연속 유지하기로 결정해, 표준주택 53.6%, 표준지 65.5%의 현실화율이 적용됐습니다.
내년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은 전국 평균으로 0.57% 올랐는데, 2021년 6.80%, 2022년 7.34% 오른 표준주택 공시가격은 올해 14년 만에 처음으로 -5.95% 하락했다가 다시 소폭 상승으로 돌아섰습니다.
다만 증가폭은 크지 않았습니다. 올해 단독주택 시세 변동 폭이 좁았던 점이 영향을 미친건데, 실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전국 단독주택 평균 가격은 올해 1~11월 1.74% 오르는데 그쳤습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가 가장 크게 오른 곳은 서울로 경기, 세종, 광주 등이 뒤를 이었고, 제주, 경남, 울산 등 5개 도시는 하락했습니다.
표준 단독주택 공시가격 1위는 9년 연속 이명희 신세계그룹 회장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자택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명희 회장 자택의 내년 공시가격은 285억7,000만원으로 올해보다 1.9% 올랐습니다.
표준지 중에서는 서울 중구에 있는 네이처리퍼블릭 부지(169.3㎡)의 내년 공시지가가 1㎡당 1억7,540만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올해보다 0.7% 상승해 해당 부지는 21년째 전국에서 ‘가장 비싼 땅’ 타이틀을 이어갔습니다.
서울경제TV 서청석입니다./blu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KTL, 로봇 시험·인증 인프라 확대…'국산 로봇 경쟁력 강화' 앞장
- 2추석 연휴 이틀째 오전 고속도로 곳곳 정체…오후 6시 절정 전망
- 3포천이 주목한 한국 여성 리더…네이버 최수연 8위·카카오 정신아 24위
- 4이재명 대통령 부부 출연 ‘냉부해’, 시청률 8.9%…역대 최고 기록
- 5美, 중국산 선박에 입항 수수료 부과…조선 시장 판도 변화 예고
- 6배 안 타도 ‘도서산간 요금’?…공정위, 13개 쇼핑몰 시정 조치
- 7여야, 국회 운영 룰까지 충돌…필리버스터·특검법 잇단 개정 추진
- 8“올해 건축 착공, 2009년 이후 최저 수준…경기 침체 여파 여전”
- 9강경화 주미대사 “실용외교의 중심은 한미동맹…더 굳건히 발전시킬 것”
- 10테슬라, 신차 출시 영상 공개에 주가 5% 급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