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올해 기업들 '중대재해처벌법'에 가장 부담 느껴"
경총, '2024년 기업규제 전망조사' 결과 발표

[서울경제TV=김서현 인턴기자] 올해 기업들이 ‘중대재해처벌법’에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전국 30인 이상 515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4년 기업규제 전망조사’(사진) 결과다.
2024년 가장 큰 부담을 느끼는 규제로, 응답 기업의 43.3%가 ‘중대재해처벌법 등 안전 규제’를 지적했다. 그 다음으로 ‘주52시간제 등 근로시간 규제’ 35.5%, ‘최저임금제도’ 21.0% 순으로 나타났다.
21대 국회의 규제혁신 활동에 대해서는 100점 만점에 54.6점으로 평가했다.
다음 국회의 과제로는 응답 기업의 48.0%가 ‘노동 규제’를 꼽았다. 노동시장 유연화 및 노사 간 힘의 균형을 회복시키는 제도 개선에 대한 지적이다.
그 외에는 상속세 및 법인세 등 조세 부담 완화 29.7%, 중대재해처벌법, 탄소 배출 규제 등 안전 및 환경 규제 26.0%, 기업인 경제형벌 합리화 7.9% 등이 다음 과제로 지목됐다.
규제환경 전망에 대해서는 응답 기업의 70.2%가 2024년 기업 규제환경이 ‘전년과 유사할 것’이라고 답했다. 그 외 ‘개선될 것’이라는 응답은 15.0%,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은 14.8%로 집계됐다.
올해 규제혁신과 관련해 정부에 가장 바라는 점은 ‘정책 일관성 유지와 규제 불확실성 축소’라는 응답이 40.2%, ‘속도감 있는 기업 규제 완화 추진’이라는 응답이 39.0%로 높게 나타났다.
정부가 추진하는 규제혁신 정책 중 가장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응답 기업의 41.9%가 ‘한시적 규제 유예'를 선택했다. 그 외 응답은 ‘규제혁신 플랫폼 온라인 사이트 신설’ 21.4%, ‘기회발전특구 조성’ 16.5% 순으로 집계됐다.
김재현 경총 규제개혁팀장은 “혁신과 변화를 위해서는 한시적 규제 유예 확대, 적극적인 이해관계 조율 등 기업들이 체감할 수 있는 조치들이 더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기업들의 목소리에 따라, 불합리한 노동 관행을 개선하고 노사 간 힘의 균형을 회복하는 노동개혁에 차기 국회가 앞장서주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bodo_celeb@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르노코리아, ‘자동차의 날’ 임직원 3인 국무총리표창 수상
- 약손명가헬스케어, '올리브영 페스타 2025' 참가
- 폭스바겐 공식딜러 지오하우스, 제주 서비스센터 신규 오픈
- 스타벅스, ‘라코스테’와 2025 여름 e프리퀀시 진행
- BMW코리아, 'M FEST' 개최…"고성능 모델 체험하세요"
- 한국미스미, ‘meviy’와 경제형 부품으로 생산성 혁신 제시
- BYD코리아, 가정의 달 맞아 ‘패밀리 EV데이’ 진행
- CU, 업계 최초 ‘네이버 지금배달’ 입점
- 삼성전자, '갤럭시 캠퍼스' 가입 대상 초중고 교사로 확대
- LGU+, AI 고도화·경찰 공조…"보이스피싱 피해 2000억원 막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