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승수 의원 "올해 국가유산청 해킹 시도 6천건…악용되는 사례 없도록 주의 필요”
올해 1~8월 국가유산청 및 8개 소속기관 해킹시도 총 6천233건, 지난해 5천770건보다 많아
해킹 시도 국가는 미국이 7,569건(28.7%)으로 가장 높아, 유형별로는 홈페이지 공격 2만6,782건으로 1위
김승수 의원 "사이버 해킹공격 방식 고도화, 공격 시도 증가…비공개 정보 유출·악용 사례 없도록 국가유산청과 소속기관의 각별한 주의 필요”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국가유산청 및 소속기관을 노린 해킹 시도가 올해에만 6천 건을 넘긴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김승수 의원(대구 북구을)이 국가유산청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8월 국가유산청 및 8개 소속기관을 상대로 한 해킹 시도는 총 6천233건이었다.
이는 지난해 전체 해킹 시도 건수(5천770건)보다 많은 숫자로, 현재 추세를 이어갈 경우 올해 전체 해킹 시도 건수는 지난 2022년(6천940건), 2021년(7천125건) 수치를 넘겨 역대 최대치를 경신할 전망이라고 김 의원은 설명했다.
해킹 유형 별로는 ‘홈페이지 공격’이 5천282건(84.7%)으로 가장 많았고, ‘비인가 접근’(844건·13.5%), ‘서비스 거부’(70건·1.1%), ‘정보수집’(28건·0.4%) 등 순이었다.
국가별로는 미국에서 이뤄진 해킹 시도가 총 1천788건(28.7%)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1천422건·22.8%), 중국(1천165건·18.7%), 인도(406건·6.5%), 독일(343건·5.5%) 등이 뒤를 이었다.
해킹에 가장 많이 노출된 기관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로, 총 2천581건(41.4%)의 해킹이 시도됐으며 국가유산청 본청(1천647건·26.4%), 국립무형유산원(1천437건·23.1%), 국가유산진흥원(352건·5.6%) 등 순으로 해킹에 노출된 것으로 조사됐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5월 직원 2천여 명의 주소, 학력,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를 기관 내부망에 유출하는 등 ‘보안사고’를 겪은 전력이 있는 만큼, 보다 꼼꼼히 보안 실태를 점검하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김 의원은 강조했다.
김승수 의원은 "최근 중앙행정기관과 공공기관 등에서 개인정보 유출사고 및 보안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며, "사이버 해킹공격 방식이 고도화되고 있고, 공격 시도도 증가하고 있는 만큼 개인정보뿐 아니라 중요 국가유산의 비공개 정보가 유출되어 악용되는 사례가 없도록 국가유산청과 소속기관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도성훈 인천교육감, 허종식 의원과 공간재구조화 사업 논의
- 보성군 선관위, 보성군수 거론 A씨 '사전 선거운동' 혐의로 검찰 고발
- 황경아 남구의원, 더불어민주당 정책위 부의장 선임
- 해남군, AI 데이터센터 최적지로 '솔라시도' 급부상
- “무분별한 디지털정보, 올바르게 활용하는 방법 교육해야죠”
- 김한종 장성군수 "전통시장은 지역 경제의 굳건한 근간"
- 조용익 부천시장, 부천시민의 날로 시민과 소통하다
- 인천시의회, 의료계와 머리 맞대고 ‘통합돌봄’ 실현 모색
- 인천시, ‘아이플러스 집 드림’으로 신혼 주거 안정 나선다
- 수원특례시,㈜보령과 민선 8기 22호 투자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