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위상 의원 “정년 넘긴 직원 다시 재고용 사업장 역대 최다”
전국
입력 2024-10-28 15:47:09
수정 2024-10-28 15:47:09
김정희 기자
0개
전체 정년제 도입 사업장의 36% 달해
저출생 고령화 여파, 인력난 심해져 5년 사이 7.1%p 상승
김위상 의원 “사회적 대타협 통해 국민 공감할 제도 마련해야”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정년을 넘긴 근로자를 계약직 등으로 다시 고용하는 ‘재고용’ 제도를 운용하는 사업장이 전체의 3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최고 비중이다.
고령화에 따른 노동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해 기업들이 자구책으로 퇴직 후 재고용 제도를 적극 활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김위상(국민의힘) 의원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작년 말 정년제를 도입한 36만3817개 사업체 가운데 재고용 제도를 운용하는 곳은 13만981개로 36.0%에 달했다.
연도별로는 ▲2019년 10만2445곳(28.9%) ▲2020년 8만2902곳(24.1%) ▲2021년 9만4338곳(27.2%) ▲2022년 10만8038곳(31.3%) ▲2023년 13만981곳(36.0%)이 재고용 제도를 운영했다. 5년 사이 도입률이 7.1%p나 높아진 것이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70.4%), 운수·창고업(52.6%), 시설관리업(52.0%) 등은 재고용 제도 도입률이 절반을 넘었다.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고 청년 유입률이 적어 고령화가 빠른 업종이다. 반면 금융·보험업(16.2%), 정보통신업(23.4%) 등은 도입률이 30%에 미치지 못했다.
퇴직 후 재고용이 증가하면서 일부 부작용도 불거지고 있다. 재고용된 근로자들이 계약 연장이 안 될 경우, 더 근무하고 싶다며 회사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는 경우 등이다. 이로 인해 퇴직 후 재고용의 법적 안정성을 담보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위상 의원은 “초고령사회에 맞춰 고용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는 사실이 통계로 처음 확인됐다”면서 “노사정 대타협을 통해 국민이 공감할 수 있는 제도를 조속히 마련할 차례”라고 강조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목포시, '관광 명품 도시' 향해 쉼표 없는 질주
- 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대한체육회, 국가대표 의료지원 위한 업무협약 체결
- 북부지방산림청, 전시 상황 대응 실제 훈련 실시
- 신우철 완도군수, 민선 8기 4년 차 맞아 '공약 조기 이행' 박차
- 전시 산불, 이렇게 막는다…서부지방산림청 실제훈련
- 고창문화관광재단, '고창한밤' 9월 여행경비 지원 참가자 모집
- 고창군, 도내 최초 5년 연속 잔류농약 분석능력 '세계적 수준' 입증
- "청년이 머무는 도시" 고창군, 청년친화헌정대상 영예
- 평택시, 팽성2배수지 9월 본격 가동
- 이재준 수원시장 "을지연습은 실전처럼"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목포시, '관광 명품 도시' 향해 쉼표 없는 질주
- 2북한이탈 아동·청소년, 국내 아동·청소년보다 정신질환 위험 1.3배 높다
- 3원주세브란스기독병원-대한체육회, 국가대표 의료지원 위한 업무협약 체결
- 4한화오션·현대건설, ‘해상풍력 원팀’ 결성…핵심 공급망 국산화 나선다
- 5차바이오텍-싸토리우스, 글로벌 줄기세포주 구축 MOU 체결
- 6북부지방산림청, 전시 상황 대응 실제 훈련 실시
- 7동아ST, 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이뮬도사’ 미국 출시
- 8신우철 완도군수, 민선 8기 4년 차 맞아 '공약 조기 이행' 박차
- 9한국수력원자력, 원전해체 비즈니스 포럼 개최…사업 추진 현황·계획 발표
- 10강남차병원, 영유아·어린이 발달신경학 권위자 정희정 교수 진료시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