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가계대출 4년來 '최대'…"토지거래허가제 영향 지켜봐야"
금융·증권
입력 2025-03-02 09:13:03
수정 2025-03-02 09:13:03
김혜영 기자
0개
연초인 2월에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이같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은 코로나19 이후 저금리에 가계대출이 급증했던 2021년 2월(9조7000억원) 이후 4년 만이다.
은행권의 전달 대비 가계대출 증가액은 3조원을 상회하고, 2금융권은 1조원 중반대로 가면서 5조원 내외에 다가서고 있다. 변동 폭이 큰 마지막 영업일(28일)을 반영하면 최종 증가액은 바뀔 수 있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정책 대출 증가분을 제외하면 새 학기 이사수요와 설날 연휴 영향 등으로 은행권과 2금융권에서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이 늘었지만, 아직 수도권 내지 강남 쪽에서 집중적으로 늘어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토지거래허가제 영향은 아직 지켜봐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강남 4구의 2월 넷째주 주간 집값 상승 폭은 0.36%로 지난해 8월 넷째주(0.37%) 이후 반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토지거래허가구역(토허제) 지정 해제 대상 지역이라는 점에서 토허제 해제가 직접적으로 집값 상승을 견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해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4∼7월 전달 대비 4∼5조원 수준으로 증가하다가 8월 들어 서울 등 수도권 중심으로 부동산 거래가 증가해 10조원 가까이로 증가폭이 커졌다. 이후 9∼11월에는 증가폭이 5∼6조원대로 떨어졌고, 12월에는 2조원대로 내려간 데 더해 지난 1월에는 열 달 만에 감소했다.
한편, 정부는 5일 김범석 기획재정부 차관 주재로 국토교통부와 금융당국이 참석한 가운데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를 열고, 토지거래허가제 완화 이후 부동산 시장 영향을 점검하고, 관련한 대응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또 은행 자본규제상 주택담보대출 위험가중치를 상향조정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금리인하에 따른 가계부채 급증세에 대비해 내부 등급법상 신규취급 주택담보대출의 위험가중치 하한인 15%를 상향조정하는 형태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신시웨이, 3분기 영업익 8억…전년비 154%↑
- 링네트, 3분기 영업익 50억…전년비 21%↑
- 하나증권, '미국주식 주간 거래 이벤트' 진행
- 삼성증권 AT WORK, 법인 임직원 고객 10만명 돌파
- 뱅크웨어글로벌-우리은행, 'AI 개발지원 플랫폼' 구축
- 제이엘케이, 일본 JSNET서 'AI 뇌졸중 솔루션' 공개
- 에이프로젠 "키트루다 병용 면역항암제 개발 본격화"
- 신협, 국악 영재 양성…'메세나대상' Arts & Business상 수상
- 파라다이스, 인천 하얏트 인수효과 지연…목표가↓-하나
- 코스피, 대내외 훈풍에 3%대 급반등…4000선 탈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폭스바겐코리아, ‘문경 레전드 트레일’에 ‘아틀라스’ 지원
- 2BMW 코리아, 전기차 시승 멤버십 누적 참여 고객 2500명 돌파
- 3현대백화점, 업사이클 다운 베스트 서울시 에너지 취약계층에 전달
- 4"시민과 함께하는 클래식"…제1회 K-클래식 페스티벌 개최
- 5원공노, 예비성인 자녀를 둔 조합원에게 응원선물 전달
- 6현대차, 평택시와 수소항만 구축…"수소 생태계 조성에 기여"
- 7신시웨이, 3분기 영업익 8억…전년비 154%↑
- 8링네트, 3분기 영업익 50억…전년비 21%↑
- 9루킨스, '투스텝 슬로우에이징 루틴' 제안…세럼·크림 론칭
- 10"안전은 모든 업무의 기본"…부산도시공사, 'BMC 안전골든벨' 열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