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의약외품 수출 효자는 치약…콜마 애터미치약 수출 1위
경제·산업
입력 2025-06-29 09:48:27
수정 2025-06-29 09:48:27
이수빈 기자
0개
방역용품 수출입 줄며 일상용품 수출입 증가

29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작년 의약외품 수출 1위 제품은 한국콜마의 치약제인 '애터미치약'으로 수출액 829만5000달러를 기록했다. 전체 의약외품 수출액 8206만3000달러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1%였다.
영케미칼의 반창고 '소마덤스팟-에스'가 474만6000달러(점유율 5.8%)로 2위였고 엘지유니참 생리용품 '쏘피초숙면팬티'와 엘지생활건강 치약제 '유시몰티엠치약'이 각각 362만7000달러(4.4%)와 357만7000달러(4.4%)로 3위와 4위를 차지했다. 쏘피초숙면팬티와 유시몰티엠치약 수출액은 전년 대비 각각 43.9%와 217.4% 급증했다.
아모레퍼시픽 치약제 '메디안치석화이트치약'은 24.3% 줄어든 190만8000달러(2.3%)로 5위였고 한국쓰리엠의 반창고 '쓰리엠넥스케어블 레미쉬패치-케어'는 91.5% 증가한 184만2000달러(2.2%)로 뒤를 이었다.
유한킴벌리의 생리용품 '화이트네이처맥시 중형날개형'은 152만달러(1.9%)로 7위였다. 재작년 수출액 3만9000달러에 비해서는 39배로 급증했다.
의약외품 수입 1위 역시 치약제인 한국암웨이의 '글리스터프로액션 컴플리트치약'이었다. 수입액은 1239만8000달러로 전체 의약외품 수입액(1억9254만2000달러)의 6.4%를 차지했다.
전년 1022만6000달러에 비해 21.2% 증가하면서 점유율을 0.7%포인트 높였다.
한국존슨앤드존슨판매의 구중 청량제 '리스테린액'이 44.8% 증가한 709만2000달러로 점유율 3.7%를 차지하며 2위를 기록했고 엘지생활건강 '페리오뉴후레쉬 알파치약'(532만3000달러)과 실란트로 '덴티스테뉴플러스화이트치약'(523만2000달러), 헤일리온코리아 '센소다인멀티케어치약'(498만8000달러) 등 치약제가 3~5위에 분포했다.
6위는 바슈롬코리아 콘텍트렌즈 관리용품 '리뉴후레쉬용액'으로 494만6000달러였고 일동제약 반창고 '케어리브'가 445만달러로 7위였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엔데믹 여파로 마스크·외용소독제 등 방역용품 수출입이 줄어드는 대신 일상용품인 치약 수출입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의약외품 전체 시장 규모는 1조7544억원으로 전년보다 4.2% 감소했지만 방역용품을 제외할 경우 1조6056억원으로 전년보다 1.6% 증가했다./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 통계청 "통계청 홈페이지·국가통계포털 등 서비스 되지 않아"
- 정부 고위관계자 "경주APEC계기 북미 정상대화 가능성 배제못해"
- 美의약품관세, 日·EU 15%…韓 당분간 100%
- 톤캬, 현대백화점 판교점 ‘팝업스토어’ 오픈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형(녹색경제신문 기자)씨 조부상
- 2금융당국 '국정자원 화재' 긴급회의…"일부 금융서비스 차질"
- 3펫코노미 시대, 관광의 새로운 해답은 ‘반려동물 동반여행’
- 4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5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6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7하반기 은행, 건전성 시험대…부실채권 시장이 관건
- 8"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9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10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