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팬데믹 후 '사포바이러스' 감염 증가… 어린이 설사·복통 일으켜
건강·생활
입력 2025-07-07 16:39:22
수정 2025-07-07 16:39:22
이금숙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금숙기자] 사포바이러스는 주로 어린 아이들에게 급성 위장관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설사, 발열, 복통,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한 경우 탈수나 고열로 인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그런데 코로나19 팬데믹 후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이 급격히 증가했으며, 특히 기온이 올라가는 여름, 가을에 감염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한림대동탄성심병원 진단검사의학과 김현수 교수팀은 ‘코로나19 팬데믹 후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의 증가’ 연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2017년 8월부터 2023년 12월까지 급성 위장관염이 의심돼 사포바이러스 검사를 받은 20만 4563개의 검체를 한림대학교동탄성심병원과 GC녹십자 연구소에서 분석했다. 이들은 다중 PCR검사를 통해 수집된 검체의 연령별·월별 사포바이러스 양성률을 확인했다. 또 팬데믹 후 검출된 사포바이러스의 유전자형 37개를 분석해 유행 양상을 확인했다.
분석결과 국내 사포바이러스 감염률은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7년부터 2019년까지 월간 최대 4.7%였고, 코로나 팬데믹 기간이었던 2020년과 2021년에는 월평균 0.3%로 매우 낮은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된 2022년 여름 이후 월간 감염률이 2배 가까이 증가해 2022년 8월에는 9.9%, 2023년 9월에는 8.1%로 치솟았다.
사포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어린 아동에게 발생했다. 연령별 감염률은 2~5세가 6.5%로 가장 높았고, 6~10세가 3.2%, 1세 이하가 3% 순이었다. 11세 이상에서는 모든 연령대에서 감염률이 1% 이하로 미미했다.
사람에게 감염을 일으키는 사포바이러스 유전자군에는 GI, GII, GIV, GV 등 네 가지가 있다. 이 연구에서 국내 유행하는 사포바이러스의 유전자형 분석에서는 GI.1이 42.5%로 가장 많았고, GII.3이 40%로 다음을 차지했다. 나머지 GII.2, GII.5 등의 유전자형은 5~7.5%에 불과했다. GI.1은 세계적으로 가장 흔한 사포바이러스 유전자형으로 국내 유행 양상은 세계적인 추세와 일치했다.
또 각 유전자형 간 뚜렷한 유전적 거리를 보였으며, 유전자 간 재조합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사포바이러스 백신이나 진단법 개발 시 중요한 유전적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김현수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그동안 잘 알려지지 않았던 사포바이러스 감염의 유병률, 계절성, 유전형 분포에 대해 확인했다”며 “코로나 팬데믹 후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와 팬데믹 기간 동안 바이러스에 대한 노출이 줄어들면서 형성된 면역력 저하가 사포바이러스 감염률 급증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또 김 교수는 “사포바이러스는 노로바이러스와 같은 칼리시바이러스 계열로, 2017년 이전에는 장염바이러스 패널 검사에 포함되지 않았고 국내 유병률도 낮은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코로나 팬데믹 이후 여름을 중심으로 감염률이 증가하고 있어 사포바이러스에 대해서도 경각심이 필요하다”며 “사포바이러스는 오염된 식품을 섭취하거나 접촉을 통해 전염될 수 있기 때문에 예방을 위해서는 손씻기 등 위생관리가 중요하며 음식은 깨끗하게 세척하고 충분히 익히거나 끓여서 먹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진단검사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SCIE급 국제저널인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7월호에 게재될 예정이다.
/ks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자생한방병원 설립자 신준식 박사, 시집 ‘마음 정원 산책’ 출간
- 비타민D 부족하면 치매? "절반만 사실"
- 혈당 개선 효과 높아도…1형당뇨병 환자 90%, ‘연속혈당측정기’ 꾸준히 안 쓴다
- 서울대병원, 국내 최초 '로봇 폐이식 수술' 성공
- 전세계 사망률 1위 '담도암'…치료 환경 개선 위한 ‘담도암 명명백백 캠페인’ 성료
- SD바이오센서, 분당서울대병원과 결핵 진단 제품 연구개발 위한 MOU 체결
- 불볕더위에 기운 없고 어지럽다면? ‘자율신경 실조’ 의심
- 제약바이오협회, 보험약가교육 진행…보험약제 정책·등재 전략 공유
- 힘찬병원, 유튜브 통해 ‘무릎 인공관절수술 재수술 원인과 치료법’ 조명
- 자생한방병원, 최경주재단 장학 꿈나무들에게 의료 지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