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구단체 “대기업의 생계형 문구업 잠식 중단하라”

경제·산업 입력 2025-09-11 11:32:10 수정 2025-09-11 11:32:10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문구업 소상공인 보호정책 촉구

서울 영등포구 중기중앙회 기자실에서 문구단체 관계자들이 피켓을 들고 문구업 소상공인 보호를 촉구하고 있다.[사진=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한국문구인연합회 등 문구 3단체는 서울 영등포구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 기자실에서 문구업 소상공인 보호 촉구를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고 11일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에는 이동재 한국문구인연합회 회장, 문윤호 한국문구공업협동조합 이사장, 장낙전 한국문구유통업협동조합 이사장 등이 참석해 소상공인 보호 촉구 호소문을 발표하고, ‘문구업종 긴급 보호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피켓 퍼포먼스를 진행했다.

문구단체들은 “다이소, 쿠팡 등 대기업 유통 채널에서 문구류가 미끼상품으로 취급되며 전통 문구점과 지역 상권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다”며 “정부가 문구업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단체들은 “대형 유통사가 소비자 유인책으로 문구류를 초저가로 판매해 영세 소상공인에게 감당 불가능한 가격 경쟁을 유발하고 문구업 전반의 가격·유통 질서를 흔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학교·학원가 인근 전통 문구점의 매출 기반이 약화되면서 주문 물량이 줄고, 그 여파로 서비스 품질이 떨어지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구단체들은 2018년 1만여 곳에 이르는 문구 소매점 수가 2025년 4000곳 이하로 60% 이상 감소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업계는 지원책으로 대형 유통사 문구용품 취급에 대한 합리적 제한, 서적과 형평성 차원에서 문구용품 부가가치세 면제, 전통 문구점 혁신을 위한 ‘문구용품 자동판매 시스템(키오스크)’ 도입 지원 등을 제시했다. 단체들은 “문구업의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동시에 소비자 편익도 확보할 수 있는 현실적 해법”이라고 밝혔다.

이동재 한국문구인연합회 회장은 “문구업은 서적과 같이 미래 세대의 교육과 창의성을 뒷받침하는 기반 산업이고, 교육과 생활 문화를 지탱하는 가치 산업”이라며, “정부가 이번 기회에 정책을 마련하고 지원한다면 문구업은 국민에게 새로운 모델로 더 큰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수빈 기자

q00006@naver.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